![]() 3국 금동불에 공통된 둥근 연화대좌를 지니고 있다. 광배 뒷면에 다음과 같은 2행의 명문이 새겨져 있다. 癸未年十一月一日 寶華爲亡父趙國人造 1-1 금동계미명 삼존불 ![]() 높이 17.5센티미터, 7세기, 국보 72호, 간송미술관 소장 2. 금동미륵보살 반가사유상(국보78호) ![]() 높이 83.2센티미터, 6∼7세기. 석가 열반 후 56억 7천만년 뒤에 온다는 부처가 미륵이다. 아직은 보살인 미륵이 도솔천에서 먼 미래에 어떻게 중생을 구제할 것인가를 다리를 꼬고 앉아서 깊은 사유에 빠져있다. 2-1 태자사유상 미륵보살 반가사유상의 모티브가 된 싯달타 태자 사유상. 3세기 후반. 인도 ![]() 2-2 미륵보살(확대) 미국 어느 박물관 홈페이지에 소개된 한국 미술실의 초기 화면 ![]() 3. 금동미륵보살 반가사유상(국보83호) ![]() 높이 93.5센티미터, 7세기. 삼국시대 불상 조각 중의 백미로 최고 걸작으로 손꼽히는 반가사유상. 이 포즈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형태를 의도적으로 왜곡해야 할 정도로 많은 어려움이 따르기 마련이나, 이 불상은 이를 모두 극복하여 완벽한 비례와 안정감, 그리고 조형적 아름다움을 갖춘 걸작이다. 3-1 얼굴부분 (확대) 이 불상은 삼국 중 어느 나라에서 만들어졌는지 알 수 없으나 대체로 그 세련도나 예술적 완성도로 보아 백제 작품으로 추정한다. ![]() 4. 목조미륵보살 반가사유상(일본) ![]() 일본 국보 1호인 이 작품은 우리의 국보 83호 미륵보살 반가사유상과의 유사성, 일본에서 생산되지 않는 적송이라는 소나무로 만들어졌다하여 백제에서 전해 준 작품으로 추정하고 있다. 4-1 얼굴부분 확대 이 거룩한 모습을 보고 있던 어떤 일본 학생이 갑자기 뛰어들어 불상을 껴안는 바람에 손가락이 부러진 적이 있었다고 한다. ![]() 5. 경주 구황동 금제아미타여래좌상 ![]() 높이 12.1센티미터, 700년경, 국립중앙박물관. 이 불상은 불신과 좌대가 분리되는 특이한 형태이며 각선 또한 매우 예리하고 삼국기 불상양식이 아직 농후하게 남아있다. 서방 극락 세계를 주재하는 아미타여래를 모심으로써 당시 사람들은 극락왕생을 빌었다. 5-1 아미타내영도 고려불화 중 아미타여래를 표현한 작품이다. 서방극락 세계로 오는 중생들을 적극적으로 맞이하는 장면을 표현한 것이다. ![]() 6. 석굴암 본존불 ![]() 국보 24호. 한국 불교예술을 대표하는 최고의 걸작품. 석가모니가 진리를 깨치는 순간을 표현하였다. 수많은 돌들을 짜맞추어 만든 인공석굴로 건축학적으로도 매우 절묘한 작품이다. 6-1 얼굴부분 (확대) 범접할 수 없는 엄숙함과 진리를 깨치는 자의 희열이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저절로 머리를 숙이게 한다. ![]() 6-2 보리사 석불 석굴암 본존불과 가장 형태가 유사한 불상이다. 하지만 조금 더 인간적인 느낌을 준다고 할까.... ![]() 6-3 수리 전의 석굴암 ![]() ![]() ![]() |
'■ 다락방 ■ > ☜ 우㉿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북한의 우표 (0) | 2007.10.31 |
---|---|
[스크랩] 북한 기념 우표 (0) | 2007.10.31 |
[스크랩] 미국에서 발행 된 태극기 우표 (0) | 2007.09.01 |
[스크랩] 역대 대통령 우표 (0) | 2007.09.01 |
[스크랩] 우표로 보는 중국 56개 민족 (0) | 2007.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