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詩 &書 ■/■ 詩 ...! ! !

[스크랩] [영상기획(38)] 긍정적인 밥/ 함 민 복

구름에 달 가듯이 2011. 5. 3. 19:11

 


 

     

긍정적인 밥/ 함 민 복


시(詩) 한 편에 삼만 원이면
너무 박하다 싶다가도
쌀이 두 말인데 생각하면
금방 마음이 따뜻한 밥이 되네


시집 한 권에 삼천 원이면
든 공에 비해 헐하다 싶다가도
국밥이 한 그릇인데
내 시집이 국밥 한 그릇만큼
사람들 가슴을 따뜻하게 덮여줄 수 있을까
생각하면 아직 멀기만 하네


시집이 한 권 팔리면
내게 삼백 원이 돌아온다
박리다 싶다가도
굵은 소금이 한 됫박인데 생각하면
푸른 바다처럼 상할 마음 하나 없네

<1996년> 
*******************************************

  • [詩 감상: 문태준·시인]
  • "아무리 하찮게 산// 사람의 생(生)과 견주어 보아도// 시(詩)는 삶의 사족(蛇足)에 불과"('詩')하지만
    시인은 시를 써서 세상의 돈을 쥔다. 끙끙대고 밤을 새우며 쓴 노력에 비하면 원고료는 박하고,
    몇 년 만에 펴내고 받는 인세로 꾸리는 생활은 기궁하다.

  • 그러나 이 가난한 시인은 원고료와 인세를 교환하면 쌀이 두 말,
    국밥이 한 그릇, 굵은 소금이 한 됫박이나 되니 든 공에 비해 너무 많은 게 아닌가라고 묻는다.
    쌀이 두 말이 되기까지의 노동, 한 그릇의 국밥이 되기까지의 노동,
    굵은 소금 한 됫박이 되기까지의 노동에 비하면
    내 노동의 대가는 얼마나 고맙고 큰 것인가 라고 말한다.
    땡볕 속에서 몸으로 얻어낸 그것들에 비할진대.
    이 세상 정직한 사람들의 숭고한 노동에 비할진대.

  • 함민복(46) 시인의 초기 시는 거대 자본주의 현실에 대한 공포를 노래했다.
    "이 시대에는 왜 사연은 없고/
    납부통지서만 날아오는가/
    아니다 이것이야말로/
    자본주의의 절실한 사연이 아닌가"('자본주의의 사연')라고 노래했고,
    서울을 문명을 주사하는 '백신의 도시'라고 이름 붙였다.
    그리고 1996년 그는 보증금 없이 월세 10만원인, 마당에
    고욤나무가 서 있는 강화도 동막리 폐가 한 채에 홀로 살림을 부렸다.
    동네 형님 고기잡이배를 따라다니며 망둥이, 숭어, 농어를 잡고,
    이제는 뻘낙지를 잡을 줄도 아는 어민후계자 시인이 되었다.
    뻘에 말뚝을 박으려면 힘으로 내려 박는 것이 아니라
    "뻘이 말뚝을 품어 제 몸으로 빨아들일 때까지/
    좌우로 또는 앞뒤로 열심히 흔들어야 한다"('뻘에 말뚝 박는 법')는 것도 배웠고,
    그물 매는 것을 배우러 나갔다 배를 타고 돌아오면서
    "경진 아빠 배 좀 신나게 몰아보지/ 먼지도 안 나는 길인데 뭐!"('승리호의 봄')라며 농담을 할 줄도 안다.

  • 강화의 서해 갯바람과 갈매기와 뻘냄새가 물씬 풍기는 그의 시는
    단단한 문명에 맞서는 '부드러움의 시학'으로 나아가면서
    우리 시단에서는 한동안 드물었던 '섬시(詩)' 명편들을 낳고 있다.
    강화도의 '물때달력'을 오늘도 들여다보고 있을 시인아. 

 

 
출처 : 구름에 달 가듯이..........
글쓴이 : 구름에달가듯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