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우소 ■/■ 생활 상식

제사와 명절챙기기

구름에 달 가듯이 2011. 8. 20. 17:44

 

 


제사(차례)상순서

제사(차례) 음식

지방 쓰는 법

한복 입는 법

절하는 법

교통방송영상

촌수 명칭

★★***제사(차례)상 진설법과 순서

제사(차례)상 차리는 법

1열 : 시접, 잔반, 메(밥) - 떡국이나 송편은 우측, 술잔은 좌측.
2열 : 어동육서(魚東肉西) - 어찬은 동쪽, 육찬은 서쪽.
3열 : 탕류 - 육탕, 소탕, 어탕 순.
4열 : 좌포우혜(左鮑右醯) - 왼쪽에 포(脯), 오른쪽에 식혜.
5열 : 조율이시(棗栗梨枾) - 왼쪽부터 대추, 밤, 배.
홍동백서(紅東白西) - 붉은 과실은 동, 흰 과실은 서.

제사(차례)준비 주의 사항!

● 제사에 쓰지않는 음식
- *과실 중 복숭아는 제사에 안 쓴다.(복숭아는 요사스런 기운을 몰아내고 귀신을 쫓는 힘이 있다고 전해진다) *생선 중에 '치'로 끝나는 꽁치, 멸치, 갈치, 삼치 등은 사용하지 않는다. *식혜, 탕, 면 등은 건데기만 사용한다. *제사 음식은 짜거나 맵거나 현란한 색깔은 피하는 것을 원칙이다. *고춧가루와 마늘은 사용하지 않는다. *설에는 밥대신 떡국을 놓으며 추석 때는 밥대신 송편을 놓아도 된다.

국내산과 외국산 농산물 구별법

이 차림들은 일반적인 상차림이며, 지역이나 지방풍습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참고] 상 위의 음식명를 클릭하시면 상세검색 됩니다.
요점 정리

★...과일과 조과류 놓는 순서
  • 조율시이(棗栗枾梨) 진설법
    진설자의 왼편으로부터 조(대추), 율(밤), 시(곶감), 이(배)의 순서로 진설하고 다음에 호두 혹은 망과류(넝쿨과일)을 쓰며 끝으로 조과류(다식,산자, 약과)를 진설다.
  • 홍동백서(紅東白西) 진설법
    붉은색 과일을 동쪽(참사자 우측), 흰색과일을 서쪽(참사자 좌측)에 진설하고 그가운데 조과류인 다식, 산자, 약과 등을 진설한다.

    ★...반찬류를 놓는 순서
  • 좌포우혜(左脯右醯)라 하여 포(문어, 명태, 오징어 등)를 왼편에, 식혜를 오른편에 진설하며 침채(김치, 동치미 등), 숙채(불에 삶거나 쪄서 익힌 나물), 청장(간장)을 그 가운데 놓는다.

    ★...탕을 놓는 차례
  • <어동육서(魚東肉西)라 하여 물고기 탕은 동쪽(우측), 육류탕은 서쪽(좌측)에 진설하고
    가운데 채소, 두부 등으로 만든 소탕을 진설하되 단탕, 삼탕 등 반드시 음수(홀수)로 쓴다.

    ★...적과 전을 놓는 차례
    적은 불에 굽거나 찐 음식을 말하며 전은 기름에 튀긴 음식을 말한다.
  • 어동육서(魚東肉西) 진설법에 의하여 어류를 동쪽(우측)에, 육류를 서쪽(좌측)에 진설하며 그 가운데 채소, 두부를 진설한다.
  • 두동미서(頭東尾西) 라 하여 어류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진설한다.
  • 건좌습우(乾左濕右) : 마른 것은 왼쪽에, 젖은 것은 오른쪽에 놓습니다.
  • 접동잔서(?東盞西) : 접시는 동쪽에, 잔은 서쪽에 놓습니다.
  • 좌반우갱(左飯右羹) : 메(밥)는 왼쪽에, 갱(국)은 오른쪽에 놓습니다.
  • 남좌여우(男左女右) : 제상의 왼쪽은 남자, 오른쪽은 여자로 모십니다.

  • 제사(차례)지내는 순서

  • 상차리기: -제사의 시작이니 먼저 몸과 마음을 깨끗히 하고 의관을 갖춘다.(최소한 양말이나 버선은 꼭 신을것)
    *병풍, 돗자리, 제사상, 제기등을 나열하고 지방과 축문을 쓰고 향불을 준비 한다. *제사상에 음식을 차린다.(제사상 차리기를 참고하여 찬음식에서 더운음식순으로 진설하며 실수로 바닦에 떨어진제물은 다시 올리지 않는다.) *지방 혹은 영정(사진)을 모신다.
  • 강신: -조상님께서 오시기를 청하는 절차이다.
    *-모든 참석자(제인)는 남자는 좌측, 여자는 우측으로 하여 제사상 앞에 선다. *-제주(장자)가 제사상 앞 중앙 향로(만향인 경우 쌀을 넣기도 한다) 앞에 꿇어 앉아서 향(만향인 경우 3개정도)을 피운 후 제주만 두 번 절한다. *-제주가 다시 꿇어앉고 집사(옆에서서 제사 진행을 돕는 사람)가 상 위의 술잔(항상 잔 받침대까지) 제주에게 주고 술을 조금(30% 정도) 따라주면 향 위를 거쳐 퇴주그릇에(왼손으로 잔대를 잡고, 오른손으로 잔을 잡고) 조금씩 세 번 기울여 다 비운다. *-빈잔을 집사가 받아 원래 위치에 놓는다.
  • 참신: -조상님이 오셨으므로 조상님께 정중히 인사드리는 절차이다.
    *-제주 및 제인모두가 두 번(여자는 네번이 원칙이나 지금은 남녀공히 두 번) 절한다.
  • 초헌: -맨 처음 술잔을 올리는 절차이다.
    *-제주(초헌관)가 다시 제사상 앞에 꿇어 앉는다. *-집사가 상위의 상좌 조상님 순으로 빈잔을 초헌관에게 주고, 집사가 술잔이 넘치도록 가득히 부어주면 더 넘치지 않을정도만 퇴주그릇에 조금 따른 후 집사에게 넘겨주어 신위 앞에(상 위에)올린다. *-같은 방법으로 잔 올리기가 끝난 후 제주는 일어나서 두 번 절한다.
  • 독축: -후손들이 조상님께 음식을 올리니 드시라는 뜻으로, 보통 설과 추석의 차례시는 생략된다.
    *-제인 모두가 꿇어앉고 축관이나 제주가 축문을 읽는다. *-다읽고 나면 제주만 두 번 절한다.
  • 아헌: -설과 추석차례시는 보통 초헌단잔으로 생략된다.
    *-아헌관이(두 번째 술잔을 올리는 사람) 제사상 앞에 꿇어앉는다. *-나머지 방법은 초헌 때와 같이 한다.
  • 종헌: -제인이 많아도 3잔이상는 올리지 않는 절제의 미덕이 있다.
    *-종헌관이(세 번째로 술잔을 올리는 사람) 제사상 앞에 꿇어앉는다. *-나머지 방법은 초헌 때와 같이 한다.
  • 첨작: -조금 더 드시기를 청하는 절차이다.
    *-제주가 빈 잔(혹은 메 뚜껑)에 술을 따라 진설 잔에 조금씩 세 번 따라 가득 차도록 붓고 두 번절(재배)하고 물러난다.
  • 삽시 정저: -신위께 식사를 권해드리는 순서다.
    *-집사가 메(밥)그릇 뚜껑을 열고 숫가락의 안쪽이 동(오른)쪽으로 향하도록 메(밥) 가운데에 꽂는다.(떡국과 송편일때는 위에 올려 놓는다) *-젓가락을 세워 바닥에 똑똑똑 세 번 가지런히 한 후 젓가락 끝(가는 쪽)이 동(오른)쪽을 향하도록 하여 시저그릇위나 고기 생선등 음식위에 올려 놓는다.
  • 합문: -신위께서 음식을 드시도록 제실문을 닫고 나오는 것으로, 설과 추석차례시는 보통 아래 헌다순까지 생략된다.
    *-신위분들께서 식사하시는 동안 제인들 모두 다른방으로 들어가 문을닫고 몇 분 정도 조용히 기다린다.
  • 계문: -문을 열고 들어가는 순서다.
    *-제주(혹은 축관, 집사)가 앞에 서서 기침을 세 번하고 일동을 데리고 제실로 다시 들어온다.
  • 헌다: -식사 후 갱물을 드리는 순서다.
    *-집사가 갱(국)을 내리고 그 자리에 갱물을 올린다. 메(밥)를 조금씩 세 번 떠서 숭늉에 말아 놓고 숟가락도 그대로 숭늉 그릇에 숟가락 손잡이는 왼쪽을 향하게 담가 놓는다.
  • 부복: -조상님의 은덕을 기리며 추모하는 순서이다.
    *-조상님의 생전모습과 말씀들을 되세겨 보며, 평소 바라던 소원을 빌기다 한다.
  • 낙시 소태: -신위분들의 흠향을 끝내는 순서이다.
    *-집사가 수저와 젓가락을 거두어 시저 접시에 놓는다. *-메(밥)뚜컹을 덮는다. *-술받침대를 시계방향으로 약간 돌려 놓는다.
  • 사신 제배: -제사를 다 끝 마쳤으므로 안녕히 가시라고 인사하는 절차이다.
    *-제인 모두 다함께 두번 절한다.
  • 분축: -축문과 지방의 소각 절차이다.
    *-축문과 지방을 대문밖에 나가 불사른다.
  • 음복: -참석한 모든 제인들이 음식을 한가지씩 먹는 절차이다.
    *-철상전에 음식 한 가지를 내려놓은 후 제사참석자들이 상 위의 술 한 잔과 고기 한 점(안주 혹은 다른 음식)을 내려먹는다.
  • 철상: -제사상을(음식) 치우고 식사 준비를 한다.
    *-제수와 제기들를 종류별로 정리한다.
  • 식사대접: -조상께서 주시는 복된 음식을 친척 및 이웃 어른께 대접하는 절차이다.
  • 위 절차는 가례라 하여 집안마다 다를 수도 있으니 제3자가 지나치게 참견이나 간섭은 피하여야 함을 명심하고, 제례는 아름다운 우리나라의 전통 미풍양속이기도 하니 종교를 떠나 후손들에게 계속 계승시키길 바란다.

  • 대추밤배감사과한과포나물침채생채식혜육탕소탕간장어탕전유어1전유어2전유어3적어적떡1떡2잔대1잔대2촛대1촛대2

    ★★***추석 설음식 장만법

    음식 만들기 : ▶잡채, ▶산적, ▶갈비찜, ▶송편, ▶신선로, ▶삼색매작과, ▶숙주나물, ▶떡갈비, ▶생선적, ▶화양적, ▶완자전
    제사(차례)전(前) : ▶전 잘 부치는 방법, ▶송편 잘 빚는 방법, ▶과일 고르는 방법, ▶제사에 쓰이지 않는 음식
    제사(차례)후(後) : ▶남은 음식 보관 방법, ▶남은 음식 활용 방법
    제사(차례)상(床) : ▶상 보기, ▶상 차리기와 절차

    ⊙ 추석 대표음식


    송편

    토란탕

    잡채

    산적

    떡갈비

    ⊙ 설 대표음식


    떡국

    만두

    갈비찜

    쇠고기 산적

    생선전

    잡채

    ★★***지방 쓰는 법

    지방(紙榜) : 제사를 모시는 대상자를 상징하는 것으로써 종이로 만든 신주(神主)
    규격 : 너비 6cm, 길이 22cm 정도가 좋으며 한지(백지)를 사용
    위치 : 고위(아버지)를 왼쪽에 쓰고 비위(어머니)를 오른쪽에 쓴다. 한 분만 돌아가셨을 경우에는 돌아가신 분만 중앙에 쓴다.
    관련정보 : 제례순서, 지방 접는 법, 축문 쓰는 법

    고조부모

    증조부모

    조부모

    부모

    백부모

    형/형수

    남편/처

    ★★***남녀 한복 입는법

    여자 한복입기 : 한복입는법, 체형별 한복 선택, 메이크업/헤어스타일, 주의할 점
    한복의 종류 : 스란치마, 회장저고리, 두루마기, 속적삼, 대슘치마 ... 더보기
    한복장신구 : 비녀와 뒤꽂이, 떨잠과 첩지, 반지 노리개 ... 더보기
    보관법 : 한복관리와 세탁법, 한복 보관법
    관련정보 : 한복, 한복이란, 한복의 변천사

    고름매는 법

    1. 고름을 반듯하게 펴서 양손을 가볍게 잡은 다음 짧은 고름이 위로 가도록 X자 모양으로 뺀다.
    2. 아래쪽 긴 고름으로 고(반리본 모양)를 만든 뒤 위쪽의 짧은 고름을 밑으로 한다.
    3. 왼손으로는 긴고름을 잡고 오른손으로는 짧은 고름을 밑으로 넣어 위로 잡아 뺀다.
    4. 아래 위로 가볍게 잡아 당기면서 완성된 모양을 만든다.
    5. 아래로 자연스럽게 떨어진 긴 고름과 짧은 고름의 길이 차이는 5~7cm정도가 알맞으며 노리개 걸이로 고정시켜도 괜찮다.

    남자 한복입기 : 남자 한복입는 순서와 허리 매는 법
    한복의 종류 : 저고리, 바지, 조끼, 두루마기, 마고자, 단령 ... 더보기
    보관법 : 한복관리와 세탁법, 한복 보관법
    관련정보 : 한복의 종류, 한복이란, 한복의 변천사

    대님매는 법

    1. 마루폭의 솔기를 발목 안쪽 복사뼈에 댄다.
    2. 발목을 싼 끝을 바깥쪽 복사뼈에 댄다.
    3. 대님을 대고 두 번 돌려서 안쪽 복사뼈에서 한 번 묶는다.
    4. 나머지로 고를 만들어 묶는다.
    5. 바지끝을 내려 보기 좋게 정리한다.

    ★★***남녀 절 하는법

    세배란? : 섣달 그믐이나 정초에 웃어른께 하는 절 ... 백과사전
    세배하는 법 : 세배는 아침 차례를 지낸 후 하는 게 정석이며, 절을 받는 어른이 앉는 자리를 북쪽으로 보고 동서남북 네 방위를 정하며, 절의 기본 횟수는 남자는 한번, 여자는 두번 .. 더보기

    절의 예절 : 1. 양손을 맞잡는다. 2. 절의 형태가 다르더라도 팔굽이 구부러지지 않게 한다.
    3. 등, 어깨, 고개를 숙일 때 뒷고대가 떨어지지 않게 한다.
    4. 앉은 자세에서 엉덩이가 들리지 않게 안정감 있게 절을 한다. 더보기

    관련정보 : 절의 종류, 절에서의 기본 예절
    ① 양손을 포개 양 팔꿈치와 손이 배 부근에서 수평이 되게 한다.(이때 남자는 왼손이 오른손 위로 올라간다)
    ② 허리를 굽혀 손으로 땅을 짚고 왼발을 먼저 구부린다.
    ③ 오른발을 구부려 왼발 바닥위에 오른발을 포개 앉는다.
    ④ 엉덩이를 발에 붙이고 손을 구부려 양 팔꿈치가 땅에 닿은 상태에서 얼굴이 손에 닿을 정도로 허리를 굽혀 절한다.
    ① 손과 팔꿈치가 수평이 되도록 어깨 높이로 들고 고개를 숙인다.(오른손등이 왼손등 위로 가도록 포갠다)
    ② 포갠 양 손 사이로 시선은 바닥을 향한다.
    ③ 먼저 왼발을 구부린 뒤 오른발을 구부린 후 오른발을 아래가 되게 발등을 포갠 후, 엉덩이를 내려 깊이 앉는다
    ④ 윗몸을 45도 앞으로 반쯤 구부려 절한다.

    ★★***교통방송 영상

    ◐전국 고속도로◑

    ◐교통정보◑
    실시간 교통정보 →영상정보, 돌발상황/통제정보

    ★★***촌수 와 명칭

    가족 호칭
    남편 시댁에서= '그이, 저이, 사랑, 아비, 아범'. 친정에서= '~서방, 그 사람'. 주변 사람들에게='남편, 그이, 애 아빠, 바깥 양반, 남편'. 부부끼리= '여보, 당신'.
    시부모 부를때= '아버님, 어머님'. 식구들에게 말할 때= '아버님, 어머님'. 주변 사람들에게= '시아버님, 시어머님'. 아이들에게= '할아버지, 할머니'.
    남편 형제 손위 형제= '아주버님'. 손아래 형제 중 결혼한 형제= '서방님'. 결혼하지 않은 형제= '도련님'.
    남편형제의 아내 남편 형의 아내= '형님'(손위 동서가 나이가 적어도). 남편 동생의 아내= '동서, 자네'. 아이들에게= '큰어머님, 작은어머님'. 남편의 누나= '형님'. 여동생= '아가씨, 아씨, 애기씨'. 남편 누나 또는 여동생의 남편= '~서방님, 고모부'. 아이들에게는 '고모, 고모부'.
    아내 친가에서= '어멈, 그 사람, ~어미'. 처가에서= '집사람, 안사람, 그 사람, ~어미'. 주변 사람들에게= '~엄마, 처, 집사람, 아내'. 부부끼리='여보, ~엄마, 당신, ~씨'
    처가식구 처가부모= '장모님, 장인어른, 어머님, 아버님'. 아이들에게= '외할머니, 외할아버지'. 아내의 오빠= '형님'. 남동생은 '처남'. 아이들에게='외삼촌, 외숙부'. 아내 오빠의 부인='아주머니, 처남댁'. 아내 남동생의 아내='처남댁'. 아이를 낳았으면='~어머님, ~자친(慈親)'. 아이들에게 아내 오빠의 부인='처남댁'. 아내 남동생의 부인='외숙모'. 아내의 언니나 여동생='처형, 처제'. 아내 언니의 남편='형님, 동서'. 아내 여동생의 남편='동서, ~서방'. 아이들에게='이모부'.
    형제배우자 형의 아내='아주머니, 형수님', 집안 어른에게 말할 때='아주미, 아지미, 형수', 남에게말할 때='형수씨'. 동생의 아내='제수씨', 집안의 어른에게 말할 때'제수'. 누님의 남편='매부'. 누이동생의 남편='~서방, 자네'. 누님의 남편을 남에게 말할 때='매부', 누이동생의 남편='매제'.

    남자(直系)

    현조부
    (玄祖父)

    |


    6촌

    고조부
    (高祖父)

    종고조
    (從高祖)

    |

    |


    5촌

    7촌

    증조부
    (曾祖父)

    종증조
    (從曾祖)

    재종증조
    (再從曾祖)

    |

    |

    |


    4촌

    6촌

    8촌

    조부
    (祖父)

    종조
    (從祖)

    재종조
    (再從祖)

    3종조
    (三從祖)

    |

    |

    |

    |


    3촌

    5촌

    7촌

    9촌


    (父)

    백숙부
    (伯叔父)

    종백숙부
    (從伯叔父)

    재종백숙부
    (再從伯叔父)

    3종백숙부
    (三從伯叔父)

    |

    |

    |

    |

    |


    2촌

    4촌

    6촌

    8촌

    10촌


    (己)

    형,제
    (兄,弟)

    종형제
    (從兄弟)

    재종형제
    (再從兄弟)

    3종형제
    (三從兄弟)

    4종형제
    (四從兄弟)

    |

    |

    |

    |

    |

    |

    3촌

    5촌

    7촌

    9촌

    11촌

    아들
    (子)


    (姪)

    종질
    (從姪)

    재종질
    (再從姪)

    3종질
    (三從姪)

    4종질
    (四從姪)

    |

    |

    |

    |

    |

    4촌

    6촌

    8촌

    10촌

    손자
    (孫)

    종손
    (從孫)

    재종손
    (從孫)

    3종손
    (三從孫)

    4종손
    (四從孫)

    여자(內從間, 고모계)

    고조
    (高祖)

    |


    5촌

    증조
    (曾祖)

    증대고모
    (曾大姑母)

    |

    |


    4촌

    6촌


    (祖)

    대고모
    (大姑母)

    내재종조
    (內再從祖)

    |

    |

    |


    3촌

    5촌

    7촌


    (父)

    고모
    (姑母)

    내종숙
    (內從叔)

    내재종숙
    (內再從叔)

    |

    |

    |

    |


    2촌

    4촌

    6촌

    8촌


    (己)

    자매
    (姉妹)

    내종형제
    (內從兄弟)

    내재종형제
    (內再從兄弟)

    내3종형제
    (內三從兄弟)

    |

    |

    |

    |

    |

    3촌

    5촌

    7촌

    9촌


    (女)

    생질
    (甥姪)

    내종질
    (內從姪)

    내재종질
    (內再從姪)

    내3종질
    (內三從姪)

    |

    |

    |

    |

    |

    4촌

    6촌

    8촌

    10촌

    손녀
    (孫女)

    이손
    (離孫)

    내재종손
    (內再從孫)

    내3종손
    (內三從孫)

    내4종손
    (內四從孫)

    외가(外從間)

    외고조
    (外高祖)

    |


    5촌

    외증조
    (外曾祖)

    외종증조
    (外從曾祖)

    |

    |


    4촌

    6촌

    외조
    (外祖)

    외종조
    (外從祖)

    외재종조
    (外再從祖)

    |

    |

    |

    3촌



    3촌

    5촌

    7촌

    이모
    (姨母)


    (母)

    외숙
    (外叔)

    외종숙
    (外從叔)

    외재종숙
    (外再從叔)

    |

    |

    |

    |

    |

    4촌

    4촌

    6촌

    8촌

    이종형제
    (姨母)


    (己)

    외종형제
    (外從兄弟)

    외재종형제
    (外再從兄弟)

    외3종형제
    (外三從兄弟)

    |

    |

    |

    |

    5촌

    5촌

    7촌

    9촌

    이종질
    (姨從姪)

    외종질
    (外從姪)

    외재종질
    (外再從姪)

    외3종질
    (外三從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