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악방 ■/■ POP ... 모음

샹송이란/샹송종류/샹송내력/연대별 상송가수

구름에 달 가듯이 2012. 5. 18. 08:51

 

 

 

 

 

샹송이란/샹송종류/샹송내력/연대별 상송가수


샹송이라는 프랑스 말은 스페인의 칸시온이나 이탈리아어의 칸초네와 같은 어원을 갖고 있어, 가요라든가 노래를 의미한다. 프랑스의 파퓰러송을 모두 샹송이라 말해도 무방하지만, 전통적인 샹송에서는 다른 나라들의 노래와는 상이한 몇 가지 특징을 볼 수 있다. 흔히 샹송은 한 편의 드라마라고 일컬어지듯이, 가사가 이야기로 되어 있는 것이 많은 것도 그 특색의 하나이리라. 곡은 쿠플레(couplet)라는 스토리 부분과 르프랭(refrain)이라는 반복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일상 대화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알기 쉬운 말을 쓰고, 때로는 아르고(은어)를 섞어서 엮는다. 세계 각국의 파퓰러송 중에서도 샹송에서는 특히 가사가 중요시된다. 따라서 샹송 가수는 단지 멜로디를 노래하는 것이 아니라, 그 가사의 내용을 전하는 데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프랑스에서는 대부분의 가수가 음악 학교는 나오지 않았더라도 대개 딕션(화법) 공부를 하는데, 이는 바로 이것 때문이다.

그리고 소리가 아름답다든가 음악적으로 정확하다든가 하는 것보다, 오히려 그 곡을 어떻게 해석하여 개성적인 표현으로 듣는 이에게 전하는가 하는 점을 평가받는다. 이리하여 어떤 샹송을 처음으로 불러 성공시키는 것을 크레아시옹(creation)이라 한다. 이것은 창조라는 의미인데, 보통 초연이라고 번역된다. 샹송에서는 특히 이 크레아시옹이 존중된다.

즉 가수는 자기의 개성으로 샹송을 연기하고 부름으로써 작자와 공동으로 그 노래에 생명을 주는 역할을 한다고 간주된다. 그리고 제2차 세계 대전 전까지는 한 번 크레아시옹된 샹송이 초연자 이외의 가수에 의해 다루어지는 일은 거의 없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샹송도 외국의 노래와 같은 경향이 되어 크레아시옹의 의의는 약해지고 말았다.

 


샹송의 종류

샹송은 그 성립이나 구조, 혹은 다루는 테마 등에 따라 여러가지 이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반드시 엄밀하지 않은 경우도 많지만, 여기에 몇 가지 예를 들어본다.

 샹송 포퓔레르 ( chanson populaire )

민중의 노래라는 뜻의 샹송 포퓔레르는 영어의 팝송과 마찬가지로 이른바 유행가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지만 샹송사에 있어서는 작자 미상의 민요나 이에 준하는 것을 말한다.

 샹송 사방트 ( chanson savante )

학식 있는 샹송이나 고급 샹송이라는 의미의 샹송 사방트는 샹송 포퓔레르에 비해 작자가 분명한 것을 말한다. 중세의 궁정을 중심으로 발달하여 사랑의 노래가 많았다. 가사의 형식도 정돈되고 곡도 예술적이어서 샹송 포퓔레르에 많은 영향을 주었고 근대 샹송의 발달을 촉구시켰다.

 샹송 드 제스트 ( chanson de geste )

보통 무훈시라고 번역되는 샹송 드 제스트는 기사도가 화려했던 중세 무렵에 발달한 서사시의 일종이며, 12세기에 만들어진 4,000행으로 된 롤랭의 샹송 등이 유명하다. 대개 기사나 왕의 무훈을 찬양한 내용을 가졌고, 노래한다기보다는 음송되었다.

 콩플랭트 ( complainte )

역시 중세에 프로방스 지방에서 일어난 세속적인 노래의 일종으로, 로맨틱한 비련 이야기나 종교적인 수난과 기적 등을 엮었고, 애수를 내포한 가락을 지녔다. 16세기 경부터 주로 종글뢰르jongleur라고 불리는 음유 시인에 의해 성하게 불려졌다. 이 콩플랭트라는 명칭은 현대에도 전해져 샹송의 제목으로 흔히 쓰이며, 애가라든가 비탄의 노래로 번역되고 있다.

 로망스 ( romance )


원래의 중세의 음유시인(트루베르trouver나 트루바두르troubadour)이 불렀던 장편의 감상적인 이야기 노래였으나, 그 후 차츰 달콤하고 부드러운 노래를 널리 이 이름으로 부르게 되었고, 기악곡에도 적용되었다. 18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 많은 작품이 만들어졌다

 샹송 리테레르 ( chanson litteraire )

문학적 샹송을 말하며, 샹송 포퓔레르에 대해 샹송 사방트와 똑같은 의미로도 쓰이지만, 일반적으로는 시인의 시에 작곡가가 곡을 붙인 작품을 말한다. 1567년 시인 장 앙투안 드 바이프와 음악가 티보 드 크루비유가 <시와 음악의 아카데미>를 설립하고 나서 이 장르의 샹송이 발달했다. 17세기에 접어들면서 샹송 리테레르는 크게 융성했고 이윽고 18세기의 카보나 19세기의 문학적 카바레가 그 주요 무대가 된다. 제1차 세계 대전 후에는 조금 존재가 희미해졌지만, 제2차 세계 대전 후 부흥의 징조를 보이면서 오늘날의 샹송계에도 전통이 계승되어왔다. 기욤 아폴리네르의 시에 의한 <미라보 다리>나, 루이 아라공의 시에 의한 <엘자의 눈동자> 등은 샹송 리테레르의 좋은 예이다

 샹송 레알리스트( chanson realiste )

현실적 샹송이라고 번역되는 샹송 레알리스트의 테마는 대개 사랑인데, 그것을 드라마틱한 수법으로 전개시켜 많건 적건 서민 생활의 가장 어두운 면을 리얼리티를 존중해서 그려낸다. 즐겨 다루는 주인공은 건달이나 매춘부, 선원이나 병사 등이며, 번화가나 항구가 그 드라마의 무대가 된다. 이 종류의 샹송은 19세기 말 경부터 대두하여 수많은 작품이 만들어졌다. 이것을 주된 레퍼터리로 하는 여성 가수를 샹퇴즈 레알리스트라고 한다. 남성인 경우는 샹퇴르 레알리스트라 하지만, 이 분야의 가수는 거의가 여성이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기 이전, 다미아, 프렐, 이봉 조르주 등이 3대 샹퇴즈 레알리스트라고 일컬어지며 명성을 얻었다. 그러나 전후에 샹송 레알리스트는 급속히 위축되었다.

 샹송 팡테지스트 ( chanson fantaisiste )

호나상적 샹송이라 번역되는 샹송 팡테지스트는 여러 가지 타입의 작품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분류로서, 자유 자재로 공상을 펼치며 엮은 샹송을 말하며, 재기에 넘치고 코믹한 요소를 갖고 있다. 주로 카페 콩세르나 뮤직 홀의 무대에서 불렸는데, 이것을 레퍼터리로 하는 남성 가수를 샹퇴르 팡테지스트라고 하며, 모리스 슈발리에, 샤를 트레네, 마르셀 아몽 등이 이 분야에 속한다. 여성 가수는 극히 적지만, 코르디는 대표적인 샹퇴즈 팡테지스트라고 할 수 있다.

 샹송 드 샤름 ( chanson de charme )

매혹의 샹송이라는 의미의 샹송 드 샤름은 주로 사랑을 주제로 한 감미로운 샹송을 말하며, 이것을 부르는 남성 가수를 샹퇴르 드 샤름이라고 한다. 이 말은 1930년대에 미성으로 당시를 풍미했던 티노 로시에 대해 처음으로 붙여졌고, 앙드레 클라보에게 계승되었다. 여성 가수의 경우는 샹퇴즈 드 샤름이라 하며, 뤼시엔 부와예 등이 이에 속하지만, 오히려 샹퇴즈 상티망탈(감상적 샹송 여가수)라 불릴 때가 많다.


이밖에 샹송 폴리티크( chanson politique ) 이미 중세 무렵부터 있었던 정치적 샹송, 샹송 앙가제(chanson engagee) 참여 샹송, 프로테스트 샹송, 혹은 샹송 드 메티에(chanson de metier) 직업에 관한 샹송 등 여러가지 분야로 나눌 수 있다.


샹송의 내력


어느 나라에서나 노래는 사람과 함께 태어난다. 샹송의 역사도 아주 오래되어, 아마 2천 년 전 옛날부터 프랑스인은 그들 자신의 노래를 부르고 있었을 것이다. 그 후 진보적인 교회의 수도사나 사제들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퍼퓰러송의 형식을 사용하여, 보다 친해지기 쉬운 전도가를 만들려고 착안했다.

이리하여 성자의 업적을 이야기하고 신의 은총을 설명한 종교적인 샹송이 태어났다. 그 이외의 세속적인 것도 있었음에 틀림없지만, 간행되지는 않은 채 그늘 속에서 사라지고 말았다. 오늘날에 전해지는 가장 오래된 샹송은 <성녀 우라리의 이야기>라고 일컬어지는데, 이것은 881년 발랑센의 수도사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한다.

마침내 중세 무렵이 되자, 순례자나 음유 시인들이 샹송을 만들어 그것을 퍼뜨리는 역할을 했다. 즉, 트루바두르라고 불리는 음유 시인은 암부 프랑스를 중심으로 10세기 말부터 13세 경까지 성하게 활약했거, 샹송 드 제스트 등을 불렀다. 트루베르는 이보다 조금 늦게 북부 프랑스에 나타난 음유 시인인데, 주된 레퍼터리는 앞의 것과 같다. 둘 다 작가 겸 가수로서 반드시 자기가 작사, 작곡한 것을 불렀으며, 고귀한 집안의 출신자가 많아 성주들에게도 기사의 대우로 맞아들여졌다.

이에 대해 종글뢰르란 이를테면 떠돌이 가수로서 반드시 자작을 부를 필요는 없었고, 시장이라든가 예배당 등 사람이 모여 있는 곳을 찾아 노래하며 다녔다. 때로는 영주에게 고용되는 경우도 있었으며, 이때는 미니스트렐ministrel이라 불렀다.

쿠플레와 르프랭으로 이루어지는 샹송의 원칙적인 형태가 완성된 것도 음유 시인의 시대이며, 12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한다. 샹송이라는 말도 이 무렵부터 쓰이기 시작했다. 또한 미국에서도 흔히 쓰이는 보드빌도 원래는 프랑스어로서, 같은 멜로디로 다른 쿠플레를 노래하는 샹송 포퓔레르를 가리키고, 그 어원은 15세기에 발 드 빌이라는 시골 거리의 애호가들이 사상 최초의 샹송 학교를 만든 사실에 유래한다는 설이 있다.

이윽고 중세가 끝나 르네상스가 찾아와서 파리가 명실공히 프랑스의 중심으로 번영하기 시작한 무렵, 샹송의 주도권은 완전히 민중의 손으로 옮아갔다. 1600년대 초에 센 강에 놓인 퐁 뇌프가 그 중심지가 되었다. 이 다리 위나 그 주변에는 가게가 늘어서 있었고, 모여든 사람들 앞에서 거리의 가수가 노래를 불렀다.

그들이야말로 노래를 직업으로 한 최초의 샹송 가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전의 음유 시인들은 여행을 하는 것이 목적이었으며, 노래는 그 수단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이 거리의 가수들의 레퍼터리는 주로 시사 풍자의 노래였다. 그들은 당시의 정부 고관이나 귀족들을 신랄하게 비꼬아서 우레와 같은 갈채를 받았다.

이처럼 노래로 풍자하는 것을 샹소네chansonner한다고 하고, 그 작자 겸 가수는 샹소니에chansonnier(e)라고 불렀다. 이 경우, 옛날부터 전해오는 멜로디나 남의 곡을 빌어 써도 상관 없지만, 가사는 반드시 자기가 지어야 하며, 더구나 날카로운 풍자를 내포하고 재치 있는 에스프리를 갖춰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전통은 현재의 샹송계에도 맥박치고 있으며, 조르주 브라생스는 그 계통의 위대한 아티스트로서 최고의 평가를 받고 있었다. 다만 샹소니에의 정의는 근년에 상당히 허술해져, 작사가 겸 가수를 똑같이 이 이름으로 부르는 사람도 많다. 또한 오래된 샹송의 작품집이나, 샹송을 들려주는 어떤 종류의 흥행장 중에도 샹소니에라고 불리는 것이 있다.


연대별 샹송가수

1865. Yvette Guilbert (이베트 길베르)
  벨 에뽀끄의 위대한 여성가수로, 1865년 파리에서 태어 났다. 어린 시절을 노르망디에서 보내고 18세 때 모델이 되었으며, 23세 때 희극 여우로서 첫무대를 밟았다. 이 윽고 노래를 부르기 시작하여 디방 쟈포네, 물랭 루즈 등의 대스타가 되었다. 샹송의 딕션(화법)을 확립하여 후세에 커다란 영향을 준 사람으로, 1944년에 사망하였 다.
   
1871. Mistinguett (미스팅게트)
  전쟁 전의 르뷔계의 대스타로, 1871년 (그 밖에 여러 설이 있다)파리 근교 앙걍 레 방에서 태어나 소녀 시절 에는 꽃을 팔았다. 1893년에 데뷰하고 1906년 막스 데 리리와 함께 콤비로 [물랭 루즈]에서 아파쉬 댄스를 추 고 크게 인기를 얻었다. 26년부터 30년에 걸쳐 이곳을 무대로 활약하고 르뷔의 여왕으로서 이 방면에 군림, 모리스 슈발리에와의 연애 등 화려한 화제를 뿌렸다. 1951년까지 무대에 섰으나 56년 1월 6일 뇌출혈 때문에 사망하였다.
   
1886. Berth Silva (베르트 실바)
  제 1 차 및 제 2 차 대전 사이에 활약하고 인기가 높았 던 여성가수로, 1886년 부르따뉴의 상 브리유 태생으로 본명은 베르뜨 빠께이다. 어린 시절을 브레스트에서 보 낸 뒤 가수가 되어 파리의 꺄바레에서 노래했다. 1928년 방송을 통해 순식간에 인기를 획득하고 레퍼터리는 1000 곡이 넘는데 약 450곡을 레코드에 취입하였다. 1940년 마르세이유에 정착하고 41년 5월 26일에 사망하였다.
   
1888. Maurice Cheval!!ier (모리스 슈발리에)
  영화배우로서도 낯익은 슈발리에는 1888년 파리의 노동 자 동네 메닐몽탕에서 페인트공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 려서부터 여러가지 직업의 견습공이 되고 12세 경부터 노래를 부르고 르뷔에 출연하였다. 미스뗑게뜨의 상대역 을 지낸 데서 그녀와 맺어지고 유명해졌다. 도미하여 영 화에도 출연하고 세계적인 대스타로서 전성시대를 쌓아 올렸다. 전후에는 빠따슈를 후원하여 세상에 내보냈고, 1956년 아랑브라극장에서 가수로서의 은퇴공연을 열었다.
 
1901. Raymond Asso (레이몽아소)
  시인 겸 가수로, 1901년 프랑스 남부의 니스에서 태어 났다. 15세 때 모로코에 가서 군대에 들어갔다가 1923년 에 귀국하였다. 여러 가지 직업을 전전하면서 소설을 쓰 고, 얼마후 에디뜨 삐아프(Edith Piaf)와 알게 되어 실의의 그녀를 격려하여 <나의 병사님> (Mon legionnaire) 등의 걸작 샹송을 만들었다(작곡은 마그리 뜨 모노). 1946년부터 스스로 무대에 서서 노래 부르고 피아노 반주자인 끌로드 발레리와 결혼하였으며, 두 사 람의 콤비에 의해 <작은 개양귀비처럼> (comme un p'tit coquelicot)등의 명작이 태어났다.
   
1906. 6. 3. Josephine Baker (조세핀 베이커)
  미국 출신의 여성가수로, 1906년 6월 3일 미주리주 센트루이스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스페인인이고 어 머니는 흑인이다. 가난의 밑바닥에서 자라 8세 때부터 춤을 시작했고, 1923년 브로드웨이의 흑인 뮤지컬에 무 용수로서 출연하였다. 25년 파리에 도착, 샹젤리제극장 의 [흑인의 르뷔]에서 찰스턴을 추고 센세이션을 불러일 으켰다. 1930년 꺄지노 드 파리의 르뷔에서 <두 개의 사 랑> (J'ai deux amours) 등을 부르고 대성공을 거두었 다. 제 2 차 대전중에는 레지스땅스 운동에 참가하였으 며, 전후에는 세계 각국의 고아를 맡아 길렀다. 56년 4 월 10일 올렝삐아극장에서 극적인 은퇴공연을 했으나, 59년 같은 극장의 르뷔[사랑의 파리]에서 장기흥행을 기 록하고 멋지게 컴백하였다.
   
1906. 3. 25. Jean Sablon (장사블롱)
  1906년 3월 25일 파리 교외에서 태어난 남성가수로, 아 버지는 작곡가이고 집안에는 음악가가 많다. 17세 때 [부르 파리지엥]이라는 극장의 오디션을 받고 연예계에 들어가 1930년에는 [꺄지노 드 파리]의 르뷔에 출연하였 다. 그 후 미국에서도 활약하고 <떠나가는 그대>를 불러 36년도의 디스크 대상을 수상하였다. 프랑스에서 최초로 마이크로폰을 이용한 가수로서도 알려졌으며, 그 부드러 운 창법은 [프랑스의 빙 크로스비]라고 일컬어진다. 주 로 외국에서 활약하였다.
   
1907. 4. 29. Tino Rossi (티노로시)
  달콤한 노래소리로 크나큰 인기를 갖고 있었던 남성가수 로, 1907년 4월 29일 코르시카섬의 아야초에서 태어났 다. 본명은 콘스탄티노 롯시이며, 어린 시절부터 노래를 좋아했으나 집은 가난하여 그는 남프랑스의 군대에 들어 가 그대로 본토에 정착하고 마르세이유의 꺄바레에서 노 래했다. 이윽고 파리에 나가 1934년 ABC극장에 데뷰하고 [꺄지노 드 파리]의 지배인 앙리 베르나에게 인정받아 그 무대를 밟고 대성공을 거두었다. 1936년 주연영화 [마리넬라]의 주제가가 대히트하여, 전 여성의 동경하는 대스타가 되었다. 전후 얼마 동안은 전쟁중의 행동이 재 난을 입어 활발치 못했으나 46년 ABC극장에 나가 컴백하 였다. 나이가 들어서도 기력이 왕성하게 활약한 대가이 다.
   
1908. 2. 14. Lys Gauty (리고티)
  1908년 2월 14일 르베로와 페레에서 태어난 여성가수로, 본명은 알리스 고띠에이며, 아버지는 운전수여서 생활이 어려워 봉제공장의 견습공으로 일하는 한편 오폐라극장 의 합창단원에게 노래를 배웠다. 얼마 후 올렝삐아극장 의 오디션을 받고 1924년에 데뷰하였다. 각지를 순회공 연하는 밑바닥 생활을 계속하고 1933년 [서푼짜리 오폐 라]의 <바르바라의 노래>·(해적의신부>로 디스크 대상 을 수상했으며, 오페레타와 영화에도 출연하였다. 한국 에는 <파리제> (A Paris dans chaque fanbourg)·<지나 가는 거룻배> (Le chaland qui passe)등으로 알려져 있 지만 최성기는 짧고, 제 2 차 대전후에는 은퇴하여 모나 코에 살고 있다고 한다.
   
1909. Claude Valery (클로드 발레리)
  여류 피아니스트 겸 작곡가로, 1909년 프랑스 니스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피아노를 배우고 꽁세르바또와르 에서 공부하였다. [공화국의 구멍]이라는 꺄바레에서 시 인 겸 가수 레이몽 아소의 반주를 한 것이 인연이 되어 그와 결혼하였다. 아소의 시에 발레리가 작곡한 1951년 의 작품 <작은 개양귀비처럼>은 물루지(Morcel Mouloudji)가 불러 53년의 디스크 대상을 획득하였다.
   
1909. 10. 22. Germaine Montero (제르멘 몽테로)
  1909년 10월 22일 파리의 몽마르트르에서 태어난 여성가 수로, 본명은 제르멘느 베루시이다. 중학교를 졸업한 뒤 6개월을 영국에서 보내고 스페인에 건너가 극작가 페데 리코 가르시아 롤카의 문하에 입문하여, 그 단체에서 여우로 데뷰하였다. 스페인 내란후 프랑스에 돌아가 38 년 이후 연극·영화 등에 출연하고 가수로서는 스페인 민요와 문화적 샹송을 불렀다. 1953년 스페인 민요의 LP 로 디스크 대상을 수상하였다.
 
1911. 4. 21. Dario Moreno (다리오 모레노)
  1911년 4월 21일 터키의 스미르느에서 태어난 남성가수 겸 배우로, 아버지는 스페인인이고 어머니는 멕시코인이 었다. 2세 때 멕시코에 건너가 여기서 자랐다. 마이아 치라고 불리는 향토 악단의 가수가 되어 노래 부르며 돌아다니던 중 미국의 밴드 리더 막스 알렌에게 인정받 고 그의 악단의 전속가수로서 각국을 순회하였다. 1948 년 파리에 나가 이듬해 레코드와 무대에서 성공을 거두 었다. 1952년 도빌의 콩쿠르에서 티노 롯시상을 수상하 였고, 영화에도 출연하여 귀중한 바이 플레이어로 활약 하였다.
   
1913. 5. 18. Charles Trenet (샤를 트레네)
  남성가수 겸 작가·작곡가로, 샹송에 재즈의 요소를 도 입하여 혁명적인 진보를 가져온 공로자이다. 1913년 5 월 18일 프랑스 남부의 나르봉느에서 공증인의 아들로 태어났다. 7세 때 최초의 샹송을 만드렀으며 그 시는 지 방신문에 실렸다. 17세 때 파리에 나가 촬영소의 조수가 되었다. 이윽고 피아니스트 조니 에스와 알게 되어 [샤 를르와 조니]라는 2중창팀을 편성하고 데뷰하였다. 1936 년 군대에 들어가 영창 안에서 만든 샹송 <기쁨 있도다> 가 이듬해 37년 [꺄지노 드 파리]의 르뷔 속에서 모리스 슈발리에에 의해 불려지고 그 이름이 알려졌다. 1938년 ABC극장에 출연하여 대성공을 거두고 <붐> (Boum)으로 동년도의 디스크 대상을 수상, 50년에도 <캐나다 여행> (Voyage au Canada)으로 수상한 바 있다. <시인의 혼> (L'ame des poetes)·<라 메르> (La mer)·<거리 모퉁 이> (Coin de rue)등 수많은 대히트를 기록하다.
   
1914. Jacques Pills (자크필스)
  1914년 태생의 남성가수로, 의사의 아들로 의학을 배우 러 파리에 나가나, 가수로 전향하였다. 1932년 조르쥬 타베와 2중참팀[필스와 따베]를 편성하고 뤼시엔느 보와 이에(Lucianne Boyer)가 경영하는 가게에서 활동하기 시 작하였다. 이 콤비에 의한 <건초 안에 누워서>가 히트하 여 같은 해의 디스크 대상을 수상하였다. 1939년 뤼시엔 느 보와이엥와 결혼하였으나, 둘 다 오페레타에서 활약 하다가 1949년에 이혼하였는데, 이 두삶의 아이가 쟈끌 린느 보와이에(Jacqueline Boyer)이다. 50년에 질베르 베꼬(Gilbert B caud)를 피아노 반주자로 하여 미국을 순회공연했으며, 52년 뉴욕에서 에디뜨 삐아프(Edith Piaf)와 결혼하고 56년에 이혼했다.
   
1915. 12. 17. Andre Claveau (앙드레 클라보)
  1915년 12월 17일 파리의 상업지구 세블가에서 태어난 남성가수로, 아버지는 실내장식상이며 그도 장식가가 되 었으나, 이윽고 취미로 부르던 노래가 노래자랑 대회에 서 우승하여 뮤직홀과 꺄바레에 가수로서 데뷰하였다. 1936년에 처음으로 레코드를 취입하고 39년에는 이미 일류 스타가 되어 있었다. 제 2 차 대전 때문에 중단한 뒤 1945년에 재출발, 50년 <작은 합승마차>로 디스크 대 상을 수상. '매혹의 샹송의 왕자님'이라는 별명으로 불 리며, 달콤하고 부드러운 목소리로 <자양화 아가씨> (Mademoiselle Hortensia)·<도미노> (Domino)·<장미빛 벚나무와 하얀 사과나무> (Cerisiers roses et pommiers blances)등의 히트를 냈다.
   
1915. 2. 8. Georges Guetary (조르주 게타리)
  오페레타계의 남성가수로, 1915년 2월 8일 이집트의 알 렉산드리아에서 태어났다. 양친은 그리스계이며, 본명은 람브로스 월룬이라고 한다. 20세 때부터 파리에 나가 상 업학교에서 배웠으며, 숙부가 피아니스트인 따소 야노 포우로였기 때문에 그 관계로 클래식의 음악가와 알게 되고 니농 바랑에게 성악을 배웠다. 조 비용 악단의 전 속가수를 거쳐 미스뗑게뜨에게 인정받아 르뷔에 출연했 으며, 1942년부터 레코드에도 활약했다.
   
1915. 12. 15. Edith Piaf (에디트 피아프)
  전후의 샹송계 최대의 여성가수로, 본명은 에디뜨 조반 나 가시옹이라고 하며, 1915년 12월 15일 파리의 노동자 동네 베르빌의 가두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하찮은 거 리의 예인이고, 어머니는 변두리의 가수인데, 자선병원 으로 가는 도중 그녀를 낳은 것이었다. 이윽고 어머니는 다른 남자와 도망가 버려 그녀는 할머니 밑에서 자랐다. 세상물정을 알게 된 무렵부터 아버지와 함께 거리에 나 가 구경꾼한테서 돈을 모으는 역을 하고, 15세 부터는 혼자 노래 불렀다. 마침 그것을 들은 [자니스]라는 꺄바 레의 지배인 루이 르프레가 그녀를 자기의 가게에서 노 래하게 했는데, 반년후 르프레가 어떤 자에게 죽임을 당 하고 그 혐의를 받은 삐아프는 실의의 밑바닥에 가라앉 는다. 얼마 후 레이몽 아소, 말그리트 모노등의 격려로 재기하였고, <나의 병사님>등을 부르고 성공을 거두었 다. 1940년 쟝 꼭또가 그녀를 위해 쓴 [냉담한 미남]에 의해 여우로서도 눈을 떴다. 1944년 [물랭 루즈]에서 이 브 몽땅(Yves Montand)을 알고 그를 사랑하여 열심히 선 전했으며 46년에는 샹송의 벗을 세상에 내보냈다. 그 후 복싱 챔피언 마르셀 세르당과 열렬한 사랑에 빠졌으나 49년에 그는 비행기 사고로 사망하였다. 1950년 9월 20 일 삐아프는 그때까지 뤼시엔느 보와이어(Lucienne Boyer)의 남편이었던 가수 쟈끄 필스 (Jacques Pills)와 미국 뉴욕에서 결혼하였고, 그 4년후에 이혼하였다. 1962년 21세 연하인 떼오 사라포와 결혼, 그와 함께 올 렝삐아극장에서 노래하였다. 그리고 63년 10월 11일 소 화기 계통의 출혈이 원인으로 요양중이던 리비에라에서 파리의 자택으로 돌아간 뒤 세상을 떠났으며, 그 충격으 로 쟝 꼭또도 뒤를 따랐다. 노래와 사랑에 산 위대한 여 성이었다. 디스크 대상은 <파리의 기사> (Le cheval!!ier de Paris)(51년)·<빠담 빠담> (Padam Padam)(52년도 ADF)이 있다. 그 작품(작사)으로는 <사랑의 찬가> (Hymne I'amour)·<장미빛 인생> (La vie en rose)이 유명하다.
   
1916. 8. 24. Leo Ferre (레오 페레)
  유니크한 작풍으로 알려진 작사·작곡가 겸 가수로서 상 제르망 데 프레의 귀재라고 불렸다. 그는 1916년 8월 24일 모나코의 몬테카를로 태생으로, 어려서부터 음악 과 친해 이윽고 경제학을 공부하는 한편 피아노를 배우 고 레오니드 사바니에프에게 작곡법을 습득하였다. 전후 그가 작사한 샹송 <파리의 연인들>을 에디뜨 삐아프 (Edith Piaf)가 다룬 데서 힘을 얻어 1946년 파리에 진 출, 꺄바레에서 피아노를 쳤으나 호평을 받지 못하고 실 의의 나날을 보내는 동안 현부인 마들렌느와 만나 그녀 의 사랑에 의해 재기하였다. 한때 클래식 분야의 작품 을 쓴 뒤 1952년 샹송계에 컴백, <남자>·<파리 카나이 유> (Paris canaill)등의 대히트를 기록하였다. 1955년 자작인 <서푼짜리 피아노의 노래> (Le piano du pauvre)로 ADF 디스크 대상을 수상하였다.
   
1916. 9. 14. Yvette Giraud (이베뜨 지로)
  한국인과도 친숙한 여성가수로, 본명은 이베뜨우롱이라 하며 1916년 9월 14일 파리에서 태어났다. 파테 말코니 레코드회사의 타이피스트가 되어 일하는 동안 그 목소리 의 매력을 인정받고 1945년 말에 첫 레코드를 취입 하였다. 이듬해 <자양화 아가씨> (Mademoiselle Hortensia)를 방송에서 불러 히트시키고 이것이 그녀의 별명이 되었다. 1952년 <시인의 혼>으로 디스크 대상을 수상하였다. 1955년, 57년에 극동에 와서 샹송 붐을 불 러일으키고 그 후에도 거의 매년 해외 공연을 갖고 있다.
   
1917. 7. 18. Henri Salvador (앙리 살바도르)
  1917년 7월 18일 서인도제도의 프랑스령 섬 구아들로프 에서 태어난 남성가수겸 작사·작곡가로서 흑인의 피가 섞여 있다. 3세 때 일가는 파리로 이사를 갔다. 형과 함 께 아마추어 밴드를 만들기도 했으며, 1935년 장고 라인 하르트 악단의 기타 주자가 되고, 41년 제대후 레이 방 추라 악단에 참가하였다. 남미 순회공연중에 뽀빠이 (Popeye)흉내를 낸 것이 히트하여 가수가 되었다. 1949 년 <원기를 내야지>로 디스크 대상을 수상하였다.코믹 한 연기와 노래로 즐겁게 해 준다. 작곡으로는 <사랑스 러운 인디언>등의 히트가 있다.
   
1917. 5. 1. Danielle Darrieux (다니엘 다리외)
  영화여우 겸 가수로, 1917년 5월 1일 보르도에서 태어 나 파리에서 자랐다. 14세 때 음악학교에 입학, 바이올 린을 배우고 있던 중 우연한 기회에 [무도회]라는 영화 의 주역으로 발탁되어 영화계에 들어갔으며(1931년), 이 후 미모의 대스타로서 많은 영화에 주연하였다. 샹송가 수로서도 활약하고 1960년에 디스크 대상을 획득하였다.
   
1917. 11. 25. Armand Mestral (아르망 메스트랄)
  1917년 11월 25일 파리 태생의 남성가수로, 아버지가 조 각가였으므로 그도 미술학교에 들어가 그림을 배웠다. 미성을 타고나 소년시절에는 교회 합창단의 솔로를 맡았 다. 그 후에도 노래 공부를 계속하여 오페레타에 데뷰하 였고, 1942년에는 코메디 오페라의 가수가 되었다. 그러 나 베이스이기 때문에 노인역 뿐이어서 샹송으로 전향 하였으며, 방송과 레코드 외에 오페레타에서도 활약하였다.
   
1917. 11. 25. Francis Lemarque (프란시스 르마르크)
  1917년 11월 25일 파리의 상업지대 뤼 드 라프에서 태 어난 작사·작곡가 겸 가수로, 12세 때 인쇄소의 견습공 이 되고 그 후에도 여러가지 직업에 종사했으며, 이윽 고 형과 함께 듀엣을 편성하고 [르마르끄 형제]라는 이 름으로 샹송계에 데뷰하였다. 시인 쟈끄 프레베르와 알 게 되어 그 소개로 조제프 꼬스마가 형제의 반주를 한 적도 있다. 제 2 차 대전 중에는 레지스땅스 운동에 참 가하기도 하였다. 전후 프레베르의 소개로 이브 몽땅과 친해지고 몽땅은 르마르크 작의 <합승마차의 마부>등을 불러 디스크 대상(1951년)을 받았다. 그것을 전후하여 르마르크 자신도 솔로가수로 활약을 시작하여 1949년 레코드에 첫취입하였으며, 56년에 자작인 <개구리> (Le grenouille)를 부르고 ACC 디스크 대상을 수상했다.
   
1917. 4. 23. Renee Lebas (르네르바)
  1917년 4월 23일 파리에서 태어난 여성가수로, 처음에 는 저널리스트 지망이어서 신문사에 다니기도 하였다. 16세 때 방송에 나가 노래를 불렀지만 본격적인 데뷰는 1938년이었다. 이듬해에 처음으로 레코드를 취입하였고, 제 2 차 대전으로 중단된 뒤, 전후에 컴백하여 인기를 높였다. 그 딕션(화법)의 능란함은 정평이 있다.
   
1918. 6. 19. Patachou (파타슈)
  1918년 경의 6월 19일 파리의 달동네 메닐몽땅의 올피라 가에서 태어난 여성가수로, 본명은 앙리에뜨 라공이다. 아버지는 도자기에 그림을 그리는 기능공으로 그녀는 그 외동딸이었다. 국민학교를 나와 악보출판상 라울 부르똥 의 가게에 다녔으며, 제 2 차 대전이 일어나자 어느 비 행기 공장의 인사과에 근무하였고, 여기서 알게 된 청년 과 결혼했다. 전후 몽마르트르에서 과자집을 개업하였고 47년에는 옆에 레스토랑을 열었다. 그러나 경영이 잘안 되었으므로 손님을 끄는 수단으로 스스로 샹송을 불러 분위기를 만들려고 생각하여 가수 빠따슈([빠뜨 아 슈] 즉 크림 파르페를 본뜬 예명)가 탄생했다. 모리스 슈발 리에에게 인정을 받고 1950년 ABC극장에 출연했으며, 54 년에 ADF 디스크 대상을 수상하였다. 서민적인 개성을 가졌고 미국에서도 인기가 높다.
   
1918. 8. 26 Marjane (마를란)
  1918년 8월 26일 빈의 귀족 집안에서 태어난 여성 가수로, 본명은 마리잔 장도뱅이다. 2년 쯤 법률 공부를 한 뒤 빈의 음악 학교에서 배우고 1937년 레코드에 처음으로 취입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도 돌일어로 노래했기 때문에 전후 '대독 협력자'라는 비난을 받아 노래를 부를 수 없었지만 1948년에 컴백했다. 55년의 영화 '사랑 많은 여자'에도 출연한 바 있다.
   
1919. 2. 16. Georges Ulmer (조루주 윌메르)
  [샹송계의 채플린]이라고 일컬어지는 쇼맨십이 풍부한 남성가수로 작사·작곡도 한다. 1919년 2월 16일 덴마크 의 코펜하겐 출신으로, 미국에서 교육을 받고 스페인에 서 영어교사가 되었으나, 내란을 피해 프랑스의 니스로 건너가 꺄바레에서 가수로 데뷰하였다. 제 2 차 대전후 파리에 나가 인기를 높였다. 1947년 <몹시 취해서>를 부 르고 디스크대상을 수상했으며, 작품으로는 <삐걀> (Pigalle)이 유명하다.
   
1919. Rudy Hirigoyen (루디 이리고엔)
  1919년 피레네 산기슭의 망디옹드에서 태어난 남성가수 로, 아버지는 바스크인이고 어머니는 부르타뉴 출신이었 다. 가계를 돕기 위해 어려서부터 일을 하였으며, 이 발사가 될 뻔했으나 1938년 방송의 노래자랑에서 우승하 고 이듬해 테노르 콩쿠르에서 제1위를 획득하여, 가수 로서 데뷰하였다. 전쟁으로 중단된 뒤 전후 샤트레극장 의 코러스 보이가 되고 1947년 루이스 마리아노의 대역 으로 무대에 섰다. 이후 주로 오페레타 분야에서 활약하 였다.
   
1920. 8. 12. Luis Mariano (루이스 마리아노)
  1920년 8월 12일 프랑스와 국경을 접한 스페인의 도시 이룬에서 태어난 남성 가수로, 미술 학교에 다니며 그림 공부를 하고 있었으나 스페인 내란 때문에 1938년 프랑스의 보르도로 이주했다. 2년 후, 음악 학교에 들어가 오페라를 공부한 뒤, 1942년 파리에 올라가 오페레타에 데뷔했다. 달콤한 노래 소리로 인기를 높였다.
   
1920. Miguel Amador (미겔 아마도르)
  1920년 멕시코의 아카풀코에서 태어난 남성가수로, 아 버지는 집시, 어머니는 멕시코 여성이었다. 5세 무렵부 터 노래와 춤을 배우고 1943년에 레코드를 취입, 영 화에도 출연하였다. 1951년 프랑스에 건너가 파리에서 데뷰하여, 주로 라틴 리듬의 것을 장기로 하고 있지만 레퍼터리의 폭은 넓다.
   
1920. Lucienne Delyle (뤼시엔느 드릴)
  1920년 파리에서 태어난 여성가수로, 일찍 부모를 잃고 숙모 밑에서 자랐다. 1939년 라디오 시티의 [신인 뮤직 홀]이라는 아마추어 콩쿠르에서 <외인부대의 깃발>을 부 르고 제 1 위가 되어 가수로서 데뷰하였다. 이듬해[파 라마운트]라는 꺄바레에 출연하여 레이몽 르그랑 악단의 반주로 노래를 불렀는데, 그 멤버의 한 사람이었던 트 럼페터 아메 발레리와 사랑에 빠져 1944년에 결혼하였 다. 47년 발레리 악단이 반주한 <나를 안아 줘요> (Emb-rasse-moi)로 디스크 대상을 수상, 1957년에는 <쟈 바> (Java)로 또다시 ADF 디스크 대상을 받다. 그러나 이 해에 백혈병으로 쓰러져 1962년 4월 10일 몬테카를로 의 병원에서 사망하였다.
   
1920. 12. 11. Jacques Douai (쟈크 두에)
  1920년 12월 11일 두에에서 태어난 남성가수로, 본명은 갸스똥 땅씨옹이며, 예명은 물론 생지의 이름을 딴 것이 다. 1947년 파리의 꺄바레에 데뷰했고, 프랑시스 끌로 드에게 발견되어 방송에도 출연하였다. 1954년 ACC 디스 크 대상을 수상, 민요나 그것에 준한 시적인 작품을 기 타를 치면서 소박하게 불러 깊은 감명을 준다.
   
1921. 10. 22. Georges Brassens (조르주 브라상스)
 
기타를 치면서 자작을 부르는 전후 최대의 샹소니에로, 1921년 10월 22일 남불 세뜨에서 석공의 아들로 태어났 으며, 어머니는 이탈리아니이다. 세뜨 및 몽쁠리에에 서 교육을 받은 뒤 1940년 파리에 나가 방랑생활을 했 다. 1952년 학생시대의 동료로 당시는 주간지 [파리 마 치]의 기자를 하던 테롱이라는 남자가 그를 [셰 빠따 슈](빠따슈의 가게)에 데려가, 여기서 노래를 부르게 되 었다. 1954년 <우산> (La parapluie)·<무덤 파는 인부> 로 디스크 대상을 수상하였다. 57년 영화[리라의 문]에 출연하였는데, 그 작품은 날카로운 풍자와 유머에 넘치 고, 때로는 상당히 에로틱하여 프랑스에서 종종 방송을 금지당하고 있다.
   
1921. 10. 13. Yves Montand (이브 몽탕)
  1921년 10월 13일 이탈리아의 몬스마노에서 태어난 남 성가수로, 본명은 이보 리비라고 한다. 23년 일가는 파 시스트에게 쫓겨 프랑스의 마르세이유로 이주하였고, 아 버지의 가업이 실패했기 때문에 그도 어린 시절부터 일 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18세 때 이브 몽땅이라는 예명 으로 데뷰하고 카우보이 차림으로 웨스턴조의 노래를 부르기도 하였다. 1944년 파리에 진출했으며, 그 해 [물 랭 루즈]에 출연했을 때 에디뜨 삐아프와 알게 되어 그 녀의 충고로 레퍼터리를 바꾸고 성공을 거두었다. 50년 의 <바르바라>,51년의 <합승마차의 마부>, 52년에 <갈레 리앙>, 54년에는 에또왈르극장의리사이틀 LP 등 네번 에 걸쳐 디스크 대상을 수상하고 세계적인 대가수가 되 었다. 1946년의 [밤의 문]이래 영화에도 자주 출연했는 데 특히 52년 [공포의 보수]에서의 명 연기가 인상 깊 다.
   
1922. 1. 20. Jacqueline Francois (쟈클린 프랑소와)
  1922년 1월 20일 파리 근교의 고급주택지 뉘 슐 라 세느 에서 태어난 여성가수로, 본명은 쟈끌린느 기유모트이 다. 아버지는 로자라는 화장품회사의 사장이었다. 처음 에는 영화계를 동경하여 필름의 편집자가 되었으나 1945년 라디오의 노래자랑에서 우승하고 가수로서 데뷰 하였다. 밴드 리더인 폴 뒤랑에게 인정받아 48년 <이것 이 봄> (<봄과 같이>의 프랑스판) 및 <봄>의 두 곡을 첫 녹음하고 이것이 ACC 디스크 대상을 수상했다. 같은해 영화 [파리의 스캔들]의 주제가 <파리의 아가씨> (Macemoiselle de Paris)·<볼레로> (Bolero)를 사운드 트랙에 취입해 대히트가 되었다. 그 후에도 <포르투갈의 세탁부> (Les lavadieres du Portugal)로 1956년도 ADF 디스크 대상을 획득했다. 미국의 발라드 창법을 마스터 한 바 있는 제1급의 가수이며, 가수 앙리 데켈의 부인이 다.
   
1922. 9. 16. Marcel Mouloudji (마르셀 물루지)
  1922년 9월 16일 파리에서 태어난 남성가수 겸 작사가 로, 작가이기도 하고 화가이기도 하며, 배우이기도 하 다는 다채로운 재능의 소유자이다. 풀네임은 마르셀 물 루지로, 아버지는 카리비아인, 어머니는 부르타뉴 출신 이었다. 어린 시절 신문팔이 등을 하면서 일하다가 10세 때 시인 쟈끄 프레베르(Jacques Prevert)에게 발견되어 연예계에 들어가 12세 경부터 아역으로 무대를 밟았다. 1943년 이후 소설에 손을 대고 처녀작 [엔리코]로 플레 이야드상을 수상하였고, 화가로서도 개인전을 열었다. 전후에 샹송을 쓰기 시작하고, 얼마후 가수로서 무대에 섰다. 53년 LP로 디스크 대상을 수상하였다.
   
1924. 5. 22. Charles Aznavour (샤를르 아즈나부르)
 

현대 최고의 가수 겸 작사·작곡가로, 1924년 5월 22일 파리의 쎄제르망 데 프레에서 태어났다. 양친은 아르메 니아인이고 그의 본명은 샤를르 아즈나브리안이다. 집안 대대로 가수이며, 그도 어려서부터 아역으로 무대에 섰 다. 1942년 삐에르 로쉬와 만나 2중창을 편성하고 노래 부르기 시작하였다. 46년 경부터 작사를 시작하여 로쉬 곡인 <몹시 취했다> (J'ai bu)가 조르쥬 윌메르(Georges Ulmer)의 노래로, 이듬해 47년도의 디스크대상을 수상 하고 명성을 높였다. 1950년 로쉬와 헤어지고, 에디뜨 삐아프(Edith Piaf)에게 인정받아 솔로 가수로서 출발, 이 무렵부터 작곡도 손대고 55년 올렝삐아극장에 출연하 여 성공을 거두고 57년에는 연예지의 인기투표에서 제 1위가 되었다. 영화에도 출연하여 세련된 연기를 보여 주는 재주꾼으로, <메께 메깨> (M -qu , m -qu ), <나는 일요일이 싫어> (Je hais les dimanches)의 작사, <라 맘마> (La mamma)의 작곡 등 수많은 걸작이 있다.

   
1924. 4. 29. Zizi Jeanmaire (지지 쟝메르)
  1924년 4월 29일 파리에서 태어난 발레리나 겸 여성가수로, 본명은 르네 쟝메르이다. 9세 때부터 발레를 배우 고 국립오페라극장의 발레과에 들어갔다. 이윽고 로랑 프티가 [발레 드 파리]를 결성했을 때 그 파트너로 초빙 되어 성공의 실마리를 잡았다(1948년), 그 후 몬테카를 로 발레단으로 옮기고 미국 순회중에 쁘띠와 재회하여 결혼하였으며, 이후 이 콤비는 특이한 발레 커플로서 세계에 그 이름이 알려졌다. 1951년 <다이아몬드를 먹 는 여자>로 디스크 대상을 수상하였으녀, 57년 2월 아 랑보라극장에서 공연하고 미스뗑게뜨의 뒤를 잇는 노래 와 춤의 스타를 지향하였다.
   
1926. 2. 8. Mick Micheyl (미크 미셸)
  1926년 2월 8일 리옹에서 태어난 여성 가수 겸 작사가로, 본명은 포레트 잔 미셸이다. 리옹의 미술 학교를 졸업하고 상업 미술을 하는 한편 샹송을 쓰고, 자기 자신이 아코디언을 연주하며 노래했다. 1947년 리옹의 콩쿠르에서 1위가 되고 49년 파리의 카바레 등에서 노래하기 시작했다. 1950년에는 ABC 극장의 콩쿠르에서 자작인 '시를 파는 사람'으로 샹송 드 샤름상, 53년에 디스크 대상을 수상했고, 그 작사로 'Un Gamin de Paris' 등이 유명하다.
   
1926. Dany Dauberson (다니 도베르송)
  1926년 리용에서 태어난 여성가수로 영화배급회사를 경 영하던 아버지가 그녀에게 영어와 노래를 배우게 했다. 이것이 도움이 되어 제 2 차 대전후 독일에 진주한 미군 장병 위문 쇼의 감독이 되고, 얼마 후 그녀 자신도 부 르기 시작하였다. 이집트를 반년간 순회공연하고 성공을 거둔 뒤, 파리에서 데뷰를 장식하였다. 오히려 남성적인 느낌이 드는 낮은 목소리로서, 독특한 매력을 갖고 있 다.
   
1926. Christian Borel (크리스띠앙 보렐)
  1926년 일송에서 태어나, 1951년부터 파리의 꺄바레 등에서 노래하고 54년 오페레타[빌리티스의 노래]에 출 연하고 세상에서 인정을 받았다. 그 후 꼬라 보께르가 경영하는 꺄바레등에서 노래하였다. 달콤한 테너의 목소 리를 지닌 남성가수이다.
   
1927. 10. 24. Gilbert Becaud (질베르 베코)
  영화배우 겸 가수로, 1927년 10월 24일 파리에서 태어났 다. 처음에는 디자이너를 지망했는데, 1947년 크리스찬 디올의 눈에 띄어 그 덕분에 연극 관계의 의상을 손댔 다. 이듬해 미셸 오크렐의 권유로 1년간 연기를 배운 뒤 49년에 영화배우로서 데뷰하여, 인기를 획득하였다. 노 래는 취미였으나, 같은 날에 태어난 질베르 베꼬 (Gilbert Becaud)에게 권유를 받아 53년 크리스마스에 방송에서 불렀는데, 그것을 듣고 있던 레코드회사의 간 부가계약을 맺고 가수 빠스꺌이 탄생하였다. 1961년 유 로비전의 콩쿠르에서 <두 사람은 연인>을 부르고 그랑프 리를 수상하였다.
   
1927. 2. 7. Juliette Greco (줄리에트 그레코)
  1927년 2월 7일 몽쁠리에에서 태어난 여성가수로, 도르 도뉴와 보르도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고 7세때부터 파리 에서 자랐다. 제 2 차 대전중 어머니가 레지스탕스 운 동에 참가하여 언니와 함께 강제수용소에 끌려갔으며, 15세의 그레꼬는 혼자 살아가게 된다. 전후 상 제르망 데 프레의 지하술집에 출입하는 동안 그 검은 쉐터와 지 저분한 바지가 사람 눈을 끌어 실존주의의 뮤즈라고 소 문이 나면서 그녀의 사진이 신문과 잡지를 장식하였다. 그 인기에 착안한 [지붕위의 황소]라는 꺄바레의 경영자 가 손님을 끌기 위해 그녀를 가수로서 노래 부르게 하 는 데 성공하여 하루밤에 새로운 스타가 태어났다. 1951년 도빌의콩쿠르에서 <나는 일요일이 싫어> (Je hais les dimanches)를 불러 에디뜨 삐아프상, 52년에 <로망스> (Romance)로 디스크 대상을 수상했다. 64년에 삐에르 마콜랑의 작품을 부른 LP로 ACC 디스크 대상을 수상하였으며, 영화에도 출연하고 있다. 프랑스어의 뉘 앙스를 살린 시적인 샹송을 들려 주는 뛰어난 가수이다.
   
1927. 10. 24. Jean Claude Pascal (쟝 끌로드 파스칼)
  1927년 10월 24일 프랑스 남부의 뚤롱에서 태어난 남 성가수 겸 작곡가로, 어려서부터 뛰어난 재능을 나타내 고 34년의 파리제 때 처음으로 대중 앞에서 피아노를 연주하였다. 42년 니스의 음악학교에 들어가 피아노과의 수석이 되었다. 21세 때 파리에 나가 단편영화의 작곡을 하는 한편 나이트클럽의 피아니스트를 지내고 1950년부 터 가수 쟈끄 필스(Jacques Pills)의 반주자로서 2년간 남북 아메리카를 순회공연을 가졌다. 이 동안 필스의 가사에 곡을 붙인 <나는 그대에게 홀딱 반해>라는 샹송 이 1952년 에디뜨 삐아프(Edith Piat)에 의해 초연되고 세상에서 인정을 받았다. 이듬해 가수로서 데뷰하고 54 년에 자작인<그대 춤출 때> (Quand tu dances)가 ADF 디 스크 대상을 획득, 명성을 확립하였다. [무슈 10만 볼 트]라고 불리는 다이내믹한 창법으로 샹송에 새 경지를 개척하였다. 영화에도 출연하였고, 오페라와 오라토리오 등의 작곡도 있다.
   
1927. 3. 7. Philippe Clay (필립 클레이)
  독특한 개성을 지닌 남성가수 겸 배우로, 1927년 3월 7 일 파리에서 태어났다. 16세 때 군대에 들어갔으며, 종 전후 꽁세르바또와르를 졸업하였다. 처음에는 고전극 등을 하고 있었으나 양드레 끌라보의 권유로 가수로 전 향하였다. <트로와 보떼>로 데뷰하여 금세 인기를 얻 고 1955년 <가엾은 쟝의 노래> (La goualante du pauvre Jean)등으로 디스크 대상을 수상하였으며, 영화 에도 많이 출연한 바 있다.
   
1928. 4. 2. Serge Gainsbourg (세르주 겡즈부르그)
  1928년 4월 2일 파리에서 태어난 작사·작곡가 겸 가수 로, 본명은 뤼시앙 겡즈부르그이다. 양친 모두 러시아인 으로 아버지는 오케스트라의 지휘자였다. 5세 때부터 피 아노를 배워 재능을 발휘했지만 그 자신은 화가 지망이 어서, 그 때문에 피아노와 기타를 치고 생활비를 벌었 다. 1954년 미셸 아르노에게 인정받아 그녀의 반주 기 타리스트가 되었다. 동시에 샹송을 만들기 시작했는데 그것이 아르노나 프레르 쟈끄에 의해 불려져 성공을 거둔 뒤, 1958년 아르노가 남편 프랑시스 끌로드와 함께 경영하는 지하술집 [미롤 랄수이유]에서 자작을 부르고 가수로서 데뷰하였다. 영화[입술에 침]에도 출연하였 다. 그 최초의 LP로 1959년도의 ACC 디스크 대상을 수 상, 65년 유로비전 콩쿠르에서 그의 작품 <꿈꾸는 프 랑스 인형>을 프랑스 걀(Freance Gall)이 불러 우승하여 세계에 이름이 알려졌다.
   
1928. Gloria Lasso (글로리아 라소)
  1928년 스페인의 바르셀로나에서 태어난 여성가수로, 의과대학에서 외과 공부를 하는 한편 노래를 좋아하녀 방송국에 출입하면서 프로그램 사회자가 되었다. 이어 그 프로그램의 가수가 갑자기 병으로 쓰러졌을 때 기타 를 치면서 노래 불러 대역을 하고 가수로서 데뷰하는 기 회를 잡았다. 1949년 레코딩하여 대성공하였으며 각지를 순회공연하고 54년 파리에 도착, 이듬해 올렝삐아극장에 진출하였다.
   
1928. 7. 2. Line Renaud (린 르노)
  주로 르뷔에서 활약하는 여성가수로, 본명은 쟈끌린느 앙떼라고 하며, 1928년 7월 2일 아르망띠에르와 가까운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조모가 경영하 는 꺄페에서 노래하고 제 2 차 대전중에는 그곳에 주둔 하고 있었던 연합군 장병에게 노래를 들려주어 인기가수 가 되었다. 전후 파리에 나가 [폴리 베르빌]에 출연중 작곡가 루이 갸스떼와 알게 되어 그 지도와 사랑을 받고 결혼하였다. 1946년 이후 영화에도 출연하여 성공을 거 두고 49년 남편이 작곡한 <캐나다의 나의 오두막>으로 디스크 대상을 획득하여 명성을 확립하였다.
   
1929. Jacques Brel (쟈끄 브렐)
  자작의 샹송을 부르는 남성가수로, 1929년 벨기에의 브뤼셀에서 어떤 회사의 사장 아들로 태어났다. 1950년 경부터 코러스를 만들어 병원 위문 등을 하다가 54년 파리에 나가서 최초의 레코드를 취입하고 성공을 거두었 으며, 57년에 자작 자창의 LP로 ACC 디스크 대상을 수상 했다. 그 작품은 성실하고 때로는 상당히 난해했으나, 59년 <천 박자의 왈츠> (La valse mille temps)의 대 히트 이래 친근미 있는 곡도 쓰게 되었다. 올렝삐아극 장에 자주 출연하여 성공을 거둔 바 있다.
   
1929. 4. 1. Marcel Amont (마르셀 아몽)
  1929년 4월 1일 보르도에서 태어난 샹뙤르 팡떼지스트 (환상파의 가수)이다. 아버지는 국유철도에 다니고 있었 는데, 그는 고교시대부터 예인을 꿈꾸고 학교를 중퇴하 고 혼자 파리에 갔다. 결핵에 걸리는 등 고생을 거듭한 뒤, 1954년 도빌의 콩쿠르에 입상하였고, 56년에는 올 렝삐아극장에 출연하였으며, 58년의 재차의 올렝삐아극 장 공연실황이 디스크대상이 되어 인기를 확립하였다. 1963년에는 극동에 와서 경묘한 무대를 보여 주었다.
   
1929. Damia (다미아)
  1929년 파리에서 태어난 여성가수로, 본명은 라마리즈 다미앙이다. 어려서부터 고용살이를 했으며, 샤뜨레극장 에서 단역을 받기도 하였다. 이윽고 로베르띠의 가르침 을 받고 괴테 몽파르나스극장에서 데뷰하지만 실패하고, 얼마 후 사샤 기트리의 눈에 띄어 아랑브라극장에 출연 한 뒤부터 차츰 팔리기 시작하였다. 프레르, 이본느 조 르쥬(Yvone Georges)와 나란히 전쟁 전의 3대 현실파 가수의 한 사람이며 <갈매기> (Les go lands)·<어두 운 일요일> (Sombre dimanche)·<남의 속도 모르고> (Tu ne sais pas aimer)등의 히트가 유명하다.
   
1929. 5. 29. Catherine Sauvage (카트린 소바주)
  1929년 5월 29일 낭시에서 태어난 여성가수로, 본명은 꺄뜨린느 소니에다. 10세부터 소녀시대를 아누시에서 보 냈는데, 노래와 연극에 정열을 불태웠고 반대를 무릅쓰 고 파리에 나가 1947년 쟝 루이 바로의 연극연구소에 들 어갔다. 우연히 친구들의 파티에서 노래하고 있던 중 [지붕 위의 황소]라는 꺄바레의 매니저 모아제스에게 스 카웃되어 이튿날부터가수로서 데뷰하였다. 1954년 레오 페레 작의 [사나이]로 ACC 디스크 대상을 수상했다. 같 은 작자의 <파리 카나이유> (Paris canaille)를 대히트 시켰다. 61년에도 레오 페레의 작품을 모은 LP로 ADF디 스크 대상을 받은 바 있다. 지적인 샹송을 부르는 제1인 자이다.
   
1930. Lucienne Boyer (뤼시엔 부아에)
  1930년 <사랑의 말을>로 디스크 대상을 받은 이래 그 달콩한 노래소리로 일세를 풍미한 여성가수이다. 1903년 경 파리의 몽파르나스에서 태어났으며, 본명은 에밀리 엔느 앙리에뜨 보와이에이다. 제 1 차 대전으로 아버지 를 잃고 나서 여공과 모델로 일하고 아테네극장의 타이 피스타가 된 뒤, 그 지배인의 주선으로 무대에 설 수가 있었다. 딕션(발음교정) 선생의 충고로 가수로 전향하여 데뷰한 것은 16세 때였으며, 이후 긴 밑바닥 생활이 계 속된다. 1930년 <사랑의 말을>로 겨우 성공을 잡고 레퍼 터리는 종래의 어둔 현실적인 샹송에서 달콤한 사랑노 래로 일변하였다. 1939년 그녀가 경영하던 꺄바레의 가 수였던 쟈끄 필스(Jacques Pills)와 결혼, 41년에는 프 랑크 푸르셀을 발견하고 자기의 반주자로 삼았다. 49년 에 필스와 이혼하였다.
   
1930. 12. 26. Jean Ferrat (쟝 페라)
  1930년 12월 26일 보크레송 태생의 남성가수 겸 작사· 작곡가로, 1954년 데뷰하여 나이트클럽에서 자작을 부르 고 있었는데, 그 작품을 쥘리에뜨 그레꼬(Juliette Gr co)등이 다루어 먼저 샹송 작가로서 이름이 알려졌 다. 1960년부터 뮤직홀의 무대에 서서 활약, 63년에 디 스크 대상을 수상하였다.
   
1930. Colette Renard (콜레트 르나르)
  자작 외에 쟈끄 브렐(Jacques Brel)이나 조르쥬 브라상 스(Georges Brassens)의 작품을 레페터리로 하고 있는 뛰어난 여성가수로, 1930년 경 출생하였다. 이스라엘인 이었으므로 제 2 차 대전중 나찌의 추격을 피해 부모와 함께 각지를 전전하였다. 그 동안 노래가 그녀의 삶의 보람이 되고 음악학교에서도 배웠다. 전후 [셰 모아 노]라는 레스토랑에서 가수로 데뷰하였다. 1960년 브라 상스의 작품을 부른 LP로 ADF 디스크 대상을 수상하였 고, 65년 피아노를 치면서 자작을 부른 LP로 ACC 디스크 대상을 수상하였다.
   
1930. 9. 12. Mathe Altery (마테 알테리)
  1930년 9월 12일 파리에서 태어난 여성가수로, 부모가 모두 클래식의 가수였다. 어려서부터 피아노와 성악을 배웠는데, 빠떼 레코드의 삐에르 예젤의 비서가 되면서 1951년 우연한 기회에 샹송을 부르게 되었다. 1953년 도빌 콩쿠르에서 <물결이 나에게 키스할 때>를 부르고 앙드레 클라보상을 수상하였고, 57년 벨 에뽀끄의 노래 를 모은 LP로 디스크대상을 받았다. 샹송 외에 오페레타 와 가곡 등을 부르고 있다.
   
1930년경. Barbara (바르바라)
  1930년 파리의 몽마르트르에서 태어난 여성가수로, 아버 지는 목수였고, 어머니는 바느질집의 재봉사였다. 어려 서 첼로를 배우고 12세 때는 어떤 소극장에서 막간에 연 주한 적도 있다. 13세 때부터 양품잡화의 점원을 비롯하 여 여러 직업을 전전한 뒤 악단 지휘자 레이몽 르그랑의 비서가 되었다. 1908년생인 르그랑은 파리의 파퓰러음악 계의 대가인데, 그 덕분에 르나르는 악단의 직속 가수가 되었고, 18세 때 ABC극장의 르뷔에 출연했고, 1956년 8 월도빌 콩쿠르에서 <나무와 사랑>을 부르고 조르쥬 브 라상스상을 수상하였다. 동년 뮤지컬 <온순한 이르마>의 주역으로 발탁되어 대성공을 거두었다. 57년 LP판으로 ACC디스크 대생을 받고 그 명성을 확립하였고, 사생활에 서는 레이몽 르그랑 부인이다.
   
1930년대. Francois Deguelt (프랑소와 드겔트)
  남성가수 겸 작사·작곡가로, 따브르에서 태어나 바르 베즈이유에서 자랐다. 1951년 파리에 나가 소르본느 대 학 철학과에 들어갔다. 이듬해 52년 좌안(左岸)의 꺄바 레에서 샹송을 부르며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었는데, 그 것을 프랑시스 끌로드가 인정해서 53년 그의 라디오 프 로그램에 데뷰, 아내 프랑스 올리비아의 피아노를 반주 로 노래하였다. 1956년에 ADF 디스크 대상을 수상하였 다. 비교적 소박한 존재였으나 65년에 그의 작품 <하늘 과 태양과 바다>가 대히트하였다.
   
1931. Guy Beart (기 베아르)
  1931년 이집트의 카이로에서 태어난 남성가수 겸 작사 ·작곡가로, 니스의 학교에 들어가 10세 때 바이올린을 사 주어 음악에 대한 정열을 불태웠다. 16세 때 파리에 나가 음악학교에 들어갔으나, 설득당하고 엔지니어로 전향하였으며, 기사의 자격을 얻어 건설부에 근무하였 다. 어느 날 실연의 슬픔을 노래로 엮어 술집에서 친 구들에게 불러 들려주고 있었던 바, 손님인 쟈끄 꺄네띠 가 이것을 듣고 그와 계약하였다. 그 작품 <벌써 1년 전 의 일>은 지지 장메르(Zizi Jeanmaire)에 의해 불려져 히트하였고, 그 자신도 기타를 들고 가수로서의 데뷰를 장식하였다. 1958년 ADF 디스크 대상을 수상하였으며, 같은 해에 영화[강은 부르고 있다]의 주제가를 만들어 대성공을 거두었다.
   
1932. 8. 18. Hugres Aufray (위그르 오프레이)
  1932년 8월 18일 뤼 쒸르 세느에서 태어난 남성가수로, 영화 여우 빠스꺌 오드레의 오빠가 된다. 처음에는 건축 학을 배우고 있었으나, 이윽고 기타를 다루고 친구들과 밴드를 만들어 활약하기 시작하였다. 파리에서 작은 술 고, 얼마후 에디뜨 삐아프(Edith Piaf)와 알게 되어 실 의의 그녀를 격려하여 <나의 병사님> (Mon legionnaire) 등의 걸작 샹송을 만들었다(작곡은 마그리 뜨 모노). 1946년부터 스스로 무대에 서서 노래 부르고 피아노 반주자인 끌로드 발레리와 결혼하였으며, 두 사 람의 콤비에 의해 <작은 개양귀비처럼> (comme un p'tit coquelicot)등의 명작이 태어났다.
   
1934. 9. 28. Brigitte Bardot(브릿지트 바르도)
   
   
1935. 1. 17. Dalida (달리다)
  1935년 1월 17일 이탈리아 카라브리아 지방에서 태어 난 여성가수로, 본명은 요란다 질리오티이다. 어린 시절 에 일가는 이집트의 카이로로 이주하고 그녀도 거기서 자랐다. 1954년 미스 이집트로 뽑히고, 몹시 좋아하는 노래로 입신할 결심을 하고 같은 해 말에 파리로 건너갔 다. 몇개의 꺄바레에 출연한 뒤 56년 4월 올렝삐아극장 의 오디션을 받고 합격하였다. 심사원 뤼시앙 모리스에 게 인정을 받고 후에 결혼하고, <밤비노>를 취입하여 레코드에 데뷰하고 이것일 크게 히트해서 인기가수가 되 었다.
   
1935. 11. 18. Alain Barriere (알렝 바리에르)
  1935년 11월 18일 부르타뉴지방 라 트리니떼 쒸르 라 메르에서 태어난 남성가수 겸 작사·작곡가로, 본명은 알렝 베레크이다. 로리랑·앙제 및 파리에서 교육을 받 은 뒤, 졸업후 4년간 공예 기사로 일했다. 1955년 샹송 계에 들어가 59년 최초의 작품을 발표, 프랑시스 르마 르크에게 인정을 받고 꼬끄 들 라 샹송 콩쿠르에서 르 마르크는 그 <꺄시>라는 노래를 불러 대성공을 거두었 다. 1962년 유로비전 콩쿠르의 프랑스 대표가 되어 <서로 사랑했을 때> (Elle tait si jolie:원제는 <그녀 는 너무도 아름다왔다>)를 부르고 제 2 위 작품으로는 그 밖에 <마리 지오꽁드>·<마 비> (Ma vie) 등의 히트 가 있다.
   
1935. Simone Langlois (시몬 랑글로와)
  1935년 파리 태생의 여성가수로, 5세 무렵부터 삐걀가 의 카페에서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1947년 쟝 노앙이 에디뜨 삐아프(Edith Piat)를 닮은 그녀의 목소리에 흥 미를 갖고 방송에 출연시키기도 하고 순회공연하는 일행 에 참가시키기도 하였다. 그 후 잠시 존재가 희미해졌 으나 1953년에 복귀하였고, 58년에 최초의 LP반으로 디 스크 대상을 받다.
   
1937. Pia Colombo (피아 콜롬보)
  1937년에 출생한 여성가수로, 아버지는 굴뚝청소부, 어머니는 집시였다. 어렸을 때 양친이 이탈리아 순례 여 행에 그녀를 데리고 갔다가 수도원에 버리고 말았다는 불행한 성장을 갖고 있다. 처음에는 발레리나를 지망했 으나 병을 얻어 가수로 전향하였고, 1956년에 데뷰하고 59년에는 올렝삐아극장에 진출하였다. 연극에도 출연, 드라마틱한 창법으로 감동적인 샹송을 들려 준다.
   
1938. 1. 13. Richard Anthony (리샤르 앙토니)
  1938년 1월 13일 이집트의 카이로에서 태어난 남성가수 로, 11세 때 영국에 건너가 2년간 칼리지에서 배우고, 다시 2년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지냈다. 그 동안 부 모는 파리로 이사를 가서 18세가 된 아들을 법과대학에 넣었다. 대학에서는 바이올린을, 이어 테너 색소폰을 연 주하였다. 아버지는 다시 미국에서 전기학을 배우게 하 려 했으나 거절하고 냉장고 세일즈맨이 되었다. 엘비스 프레슬리(Elvis Presley)의 레코드를 듣고 로크에 열 중, 폴 앙카(Paul Anka)의 레코드에 맞춰 자기 목소리를 취입한 테이프를 각 레코드회사에 보내어 인정받는 데 성공하고, 58년에 레코딩을 시작하였다. 60년 이후에는 자기의 악단을 결성하고 활약하였다.
   
1938. 2. 26. Bernard Stephane (베르나르 스테판느)
  1938년 2월 26일 태생의 남성가수로, 소년시대를 노르망 디에서 보내고 13세 때부터 노래 부르기 시작하였다. 작 곡에도 재능을 나타내고 달콤한 목소리와 부드러운 필링 으로 인기를 높였다.
   
1938. Les Quartes Barbus(수염의 네 사나이)-그룹
  1938년 피레네 지방의 바캉스 캠프에서 서로 알게 된 네 사람이 결성한 보컬 그룹으로, 처음에는 '길벗'이라는 이릉을 썼다. 전쟁으로 활동을 중단했으나 1945년에 다시 만나 '수염의 네 사나이'라고 이름을 고쳐 활약을 시작했다. 1950년, 52년(ACC), 55년(ADF)에 디스크 대상을 수상했다. 네 사람 모두 진짜 수염을 기르고 코믹한 노래를 들려주었다.
   
1939. 2. 1. Claude Francois (클로드 프랑소와)
  1939년 2월 1일 이집트에서 태어난 남성가수로, 17세 때 프랑스에 돌아갔으며, 몬테카를로의 클럽에서 타악기 주자가 되었다. 1962년 파리에 나가 가수로서 데뷰하였 고, 이듬해 63년 <천사의 해머>로 디스크 대상을 수상했 으며, 자작의 곡과 포크송을 즐겨 부르고 있다.
   
1939. Isabelle Aubret (이자벨 오브레)
  1939년 릴에서 태어난 여성가수로, 1962년 <첫사랑>을 불러 유로비젼 콩쿠르에서 우승하였으며, 착실하게 인기 를 높여 중견가수로서의 지위를 쌓다.
   
1940. Jacques Higelin(자크 이를렝)
  1940년 센 에 마른에서 태어났다. 일정한 틀이 없이 그때 그때 새로운 음악을 잘 소화해내는 가수로 정평이 나 있다. 처음에는 영화, 연극을 했으나, 1968년 사라바의 일원이 되면서 샹송계에 뛰어들었다. 1975년 완벽한 록 앨범 'BBH75'를 발표한 이래로 나름대로의 하드록, 블루스, 부기 스타일의 음악을 만들어갔다. 앨범도 상당히 개성이 있지만 특히 라이브에 강한 면모를 보여주고 있으며 지금도 활발한 음악 활동을 보여주고 있다.
   
1941. Maya Casabianca (마야 카사비앙카)
  1941년 모로코의 카사블랑카에서 태어난 여성가수로, 아버지는 프랑스인인 조선(造船)기사, 어머니는 스페인 인이었다. 그 후 3년간 이스라엘에서 산 뒤 아버지와 함께 지중해의 항구를 전전하고 1958년 프랑스에 왔다. 60년 봄 프로방스에서 재능을 인정받고 같은 해에 레코 드를 취입하여 이국적인 휠링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1941. Franoise Hardy (프랑스와즈 아르디)
  아르디는 제2차 세계대전이 한창중이던 1941년 파리에서 태어났다. 보봐르나 까뮈 등의 작품에 몰입하며 평범한 소녀시절을 보내는데 그녀는 어머니로부터 대학합격 선물로 기타를 받게 되는데 이것이 계기가 되어 그녀는 스스로 곡을 쓰거나 가사를 쓰며 가수의 꿈을 키우게 된다. 대학에 들어가서는 노래하는 것 외에 정치학 역사, 독일어 등을 전공하며 자신의 관심분야를 넓혀나가는데 이것이 후에 그녀를 지적인 가수로 또 유명인사들과 어울릴 수 있는 지적인 여성으로 만드는 요소가 되었다. 그녀의 처녀작은 그녀가 16살에 작곡한<당신은 길을 갔어요>란 곡이다. 하지만 그 당시는 Johnny Holliday가 스타로 군림하던 록풍의 샹송이 한창일때라 그녀는 오디션에 번번히 실패한다. 그러나 1963년 Vogue사에서 발매한 <Tous Les Garcon Jour:모든 소년 소녀들>가 히트를 하며 그녀는 스타덤을 향한 첫발을 내딛는다. 이듬해 그녀는 <Premier Bonheur Du Jour:청춘블루스>로 대상을 수상하고 올림피아 극장에서 공연을 함으로써 자신의 입지를 다지게 된다.
   
1941. Les Compagnons de la chanson (샹송의 벗)
  샹송에는 많지 않은 코러스 그룹의 하나로, 1941년 리 용에서 결성된 레지스탕스 단체. 프랑스의 동료들이 프 랑스 남부의 피난민을 위문하기 위해 루이 리에발을 리 더로 하여[음악의 벗]이라는 소년 코러스단을 만들었다. 이것이 전후까지 계속되어 1945년 파리의 [보비노]에 출 연했으며, 이듬해[음악의 벗]은 둘로 갈라지고, 새로 9 명의 멤버로 이루어진 [샹송의 벗]이 태어나 에디뜨 삐 아프(Edith Piaf)에게 인정을 받고 성공을 거두었다. 1946년 <세 개의 종>이 대히트, 48년 <라 마리>로 ACC 디스크 대상을 수상하였고, 이후 최고의 실력과 인기를 자랑하고 있다.
   
1942. Eddy Mitchel (에디미첼)
  1942년 파리에서 태어났다. 록 음악만을 고집하고 있다. 1961년에서 1964년까지 '검은 양말들'이라는 그룹을 친구들과 결성하기도 했고, 곧 미 팝송을 리바이벌하며 독립적으로 노래를 불렀다. 이름도 일부러 미국적 냄새가 나게끔 고친 것이다. <예-예>풍의 노래가 히트를 칠때부터 활동하기 시작하여 지금까지도 왕성하게 음악 활동과 공연을 계속하고 있으며. 영화에도 진출했다.
   
1942. Jacqueline Boyer (쟈클린 부아에)
  1942년 파리에서 태어난 여성가수로, 아버지는 쟈끄 필 스(Jacques Pills), 어머니는 뤼시엔느 보와이에 (Lucienne Boyer)이다. 어려서부터 노래를 좋아하여 모 리스 에스깡드의 연극교실에서 배우는 한편 노래의 레슨 을 받았다. 1957년 어머니의 헝가리 순회공연에 동행하 여 처음으로 청중 앞에서 노래 불렀다. 1960년 유로비전 콩쿠르에서 <톰 필리비> (Tom pillibi)를 부르고 그랑프 리를 획득하였고, 같은 해의 꼬끄 들 라 샹송 콩쿠르에 서는 <처음의 날처럼>으로 제 2 위를 수상하였다. 59년 부터 어머니가 몽마르트르에 만든 꺄바레 [셰 뤼시엔 느]에서 노래를 부르다가 이 꺄바레에 나온 신진가수 프랑소와 뤼비아나와 결혼, 62년에 모친이 되었다.
   
1943. 6. 15. Jonhy Halliday (조니 할리데이)
  미국의 차비 체커(Chubby Checker)와 나란히 트위스트 를 전세계에 유행시킨 남성가수로, 1943년 6월 15일 파 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미군 병사, 어머니는 프랑 스 여성이다. 얼마 후 아버지는 미국에 돌아갔는데, 성 장하자 조니는 곧잘 오클라호마주에 있는 아버지의 농원 에 놀러가 기타의 초보를 배웠다. 아버지가 다른, 형의 부부는 댄서였으므로 그들과 함께 유럽 각지를 돌면서, 막간에 들어서 익히 카우보이송을 불렀다. 14세 때 미국 에서 빌 헤일리의 연주를 듣고 귀국후 록에 열중하여, 나이트클럽이나 방송에 출연하면서 16세로 성공을 얻었 다. 1960년 처음으로 레코드를 취입, 트위스트 붐의 원 동력이 되었다.
   
1943. 11. 1. Adamo (아다모)
  1943년 11월 1일 이탈리아의 시칠리아섬 코미조에서 태 어난 남성가수 겸 작사·작곡가로, 풀네임은 살바토레 아다모(Salvatore Adamo)라고 한다. 4세 때 일가와 함께 벨기에로 이주하였으며, 12세 무렵은 교회의 성가대에서 노래 부르고 15세 때부터 가사를 만들기 시작하였다. 조 부한테 받은 기타를 치면서 그것에 곡을 붙여 혼자 즐 기고 있었는데, 학교 친구들이 권해 콘테스트를 받게 했 다. 몇번 실패한 뒤 어떤 콘테스트에서 우승하고 레코드 회사와 계약, 62년 <쌍 또와 마미> (Sans Toi Ma Mie) 의 대히트에 의해 스타가 되었다. 그 후에도 잇따라 뛰 어난 작품을 쓰고, 스스로 노래 부르기도 했다. 65년 파 리의 올렝삐아극장에 출연, 대성공을 거두었다.
   
1944. 8. 15. Sylvie Vartan (실비 바르탕)
  1944년 8월 15일 불가리아의 소피아에서 태어난 여성가 수로, 어린 시절 파리에 이주하여, 빅토르 위고 고등학 교에 들어갔다. 오빠 에디 바르땅이 밴드를 하고 있었는 데 그 가수가 갑자기 그만두어 버렸으므로 대역으로 노 래 부르고 그대로 노래하는 일을 계속하였다. 로크조의 노래를 중심으로 매력적인 연기·가창으로 인기를 획득 하였다. 조니 할리데이와 연애 결혼하였다.
   
1944. Les Freres Jacques(프레르 자크)-남성 4중창단
  1944년에 노동 문화 협회의 사람들이 결성한 남성 4중탕단으로, 멤버 앙드레 및 조르주 베레크 형제와 폴 투렌, 프랑수에 수비랑 등 네 명의 코러스를 피아니스트 피에르 필립이 반주한다. '재산 목록'으로 1951년 디스크 대상을 수상, 56년에는 오페레타 '아름다운 아라벨'에 출연하여 인기를 높였다. 판토마임을 샹송과 결부시킨 멋진 무대를 보여준다.
   
1945. 5. 27. Alain Souchon (알랭슈숑)
  원래 가수로 시작하여 영화계에 진출한 스타로 1945년 5월 27일 모로코의 카사블랑카에서 태어났다. 부모가 원하던 공부보다는 파리 센 강 서안에 번창하던 카바레에 더 큰 관심을 가지게 된 그는 1963년부터 그곳에서 노래를 불렀다. 1971년 첫 45회전판 '나는 방랑자'를 내놓았으며 73년에 혹평을 받은 '사랑 1830'을 내놓고 나서 로랑 불지와 만났다. 그 이후 공동으로 히트곡을 많이 냈다. 또 불지와 서로 곡을 주고 받으면서 나란히 밀리언 셀러를 기록하기도 했다. 80년대 들어 영화에도 진출했는데 늦게 시작한 배우 활동치곤 여배우 복이 많다는 평을 들으며 카메라가 잘 받는 드문 가수 중 한 사람이다.
   
1945. Marjorie Noel (마조리 노엘)
  1945년의 크리스마스에 태어난 여성가수로, 본명은 프랑 소와즈 니보이다. 노엘이라는 예명은 크리스마스를 의미 하고, 또 마조리는 인기가수 니그 오프레이가 지어 주었 다고 한다. 다방을 경영하는 양친을 도우면서 노래를 공 부하고 1964년 레코드에 데뷰하였다. 이듬해 65년의 유 로비전 콩쿠르에서는 몬테카를로 대표로서 출장하여 성 공을 거두었다. <사랑은 기차를 타고> (Dans le m me wagon) 등의 히트를 낸 바 있다.
   
1945. Cathrine Lara (카트린 라라)
  1945년 푸아시 태생으로 13세에 바이얼린을, 21세에는 챔버 음악을 배우는 등 원래 클래식 음악을 전공했다. 텔레비전 프로그램인 '디스코라마'에 출연하여 반주자로 일한 것이 계기가 되어 여러 곡의 싱글을 발표했다. 특히 신세사이저를 이용하여 목소리와 합성하는 등 그 당시로서는 전혀 새로운 시도로 각광을 받았다. 하지만 포크와 록, 동양적인 또는 폴리네시안적인 음악을 시도하면서 네오 클래식한 분위기를 잃었다. 활력있고 폭발적인 제스처와 목소리가 트레이드 마크로 무대 매너가 강렬한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1946. 6. 4. Antoine (앙투안)
  1946년 6월 4일 아프리카의 마다가스카르섬에서 태어 난 남성가수로, 양친과 함께 프랑스에 건너갔다. 어린시 절부터 기타를 다루어 이윽고 록과 포크송에 흥미를 갖 고 스스로 작곡했다. 1966년 레코드에 데뷰하여 순식간 에 인기를 높였다.
   
1946. 7. 2. Mireille Mathieu (미레이유 마띠유)
  1946년 7월 22일 아비뇽에서 태어난 여성가수로, 13명 의 형제자매 중 맏딸이다. 가정은 가난하여 공장에 다니 면서 자랐다. 15세 때 아비뇽의 샹송 콘테스트에서 제1 위가 되었다. 이윽고 버클레이 레코드의 사장 에디 버 클레이에게 스카웃되어 1965년 12월 신인 콘테스트에 출 연, 이듬해 66년 봄 데뷰 레코드 <사랑의 신조>가 대히 트하고 일약 스타가 되었다. 목소리도 창법도 에디뜨 삐 아프와 비슷하며, 나이에 어울리지 않는 스케일이 큰 실력의 소유자이다. 1966년 9월에는 올렝삐아극장에 출 연해서 대성공을 거두고 제2작인 <눈물로 보는 그대>도 히트하였다.
   
1946. 8. 16. Sheila (셰일라)
  1946년 8월 16일 파리 근교 크레뚜이용에서 태어난 여성 가수로, 본명은 아니 샹세르. 아버지는 시장에서 과자가 게를 하고 있었다. 8세 때부터 춤을 시작하고 피아노와 노래를 배웠다. 이윽고 학우들과 [레 기타 브러더스]라 는 그룹을 만들고 거기서 노래하고 있다가 오디션을 받 고 1962년 레코드에 데뷰하였으며, 그 타이틀 <셰일라> 를 예명으로 했다. 이듬해 영화에도 출연하였으며, 잇달 아 히트를 기록하고 스타가 되었다.
   
1946. 7. 24. Herre Vilard (에르베 빌라르)
  1946년 7월 24일 파리의 랑데부가에서 태어난 남성가수 로, 양친은 이탈리아계였는데, 생후 3개월의 그를 버리 고 행방불명이 되고 말았다. 그래서 빈민구제사업의 대 상이 되고 고아원에서 자랐다. 그리고 이따금 자선가의 가정에 맡겨지기도 했는데, 그 한 집에서 달리다와 질베 르 베꼬(Gilbert Becaud)의 샹송을 듣고 가수를 꿈꾸었 다. 이윽고 샹젤리제의 레코드 가게 점원이 되어 낮에 는 일하고 밤에는 노래를 공부하였다. 1964년 레코드회 사의 오디션을 받고 무난히 합격하여 그 해 레코드에 데 뷰하였으며, 이듬해 65년 자작인 <카프리의 사랑의 이야 기> (Capri, cest fini)가 베스트셀러가 되고 인기스타 가 되었다.
   
1946. 12. 14. Jane Birkin (제인버킨)
  영국태생인 제인버킨은 1946년 12월14일 런던에서 태어났다. 군인인 아버지와 영화배우인 어머니 사이에서 유복하게 태어난 그녀는 타고난 미모와 어머니의 영향으로 18세에 영화계에 입문하게 되고, 거기에서 후에 영화음악의 거장이 되는 'John Barry'를 만나게 된다. 그녀를 보자 첫눈에 반한 그는 그녀에게 청혼을 하고, 그의 재능과 지성에 매료된 '제인'은 쾌히 승낙해 그들의 결혼은 급속도로 진행되고, 그 이듬해 제인은 첫딸인 Kate를 낳게 된다. 그러나 빨리 데워진 물이 빨리 식듯이 그들의 이혼은 그만큼 빨리 왔다. 그리고 그것은 '세르쥬'와의 만남에서 비롯된 것이다. 영화 'Slogan'에서 그녀를 만나 '세르쥬'는 단번에 그녀에게서 재능과 매력을 발견했다. 처음에는 '세르쥬'도 그녀에게 친절하지 않았고, 둘은 약간의 적대적인 감정을 품고 있었지만 3번째의 만남 이후 그들은 떨어질 수 없는 사이가 됐고, '제인'의 재능을 알아차린 '세르쥬'는 그녀에게 샹송을 부를 것을 권했다.
   
1947. Julien Clerc (줄리앙 클레르)
  본명은 폴 알랭 르클레르라고 하며 1947년 파리 태생이다. 1968년 뮤지컬 코미디 '헤어'에 출연하면서 유명세를 타기 시작, 1970년 올랭피아에서 공연을 하기에 이른다. 그의 음악 세계는 바이브레이션이 풍부한 목소리와 초현실주의적인 가사, 창의적이며 다양한 멜로디로 특징지워진다. 1980년부터는 록 음악의 요소를 많이 받아들였으며, 이전과는 반대로 음악이 가사에 우선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1947. michel Berger (미셸 베르제)
  프랑스의 유명한 의학교수의 아들로 1947년 태어났다. 1961년 <예-예> 풍의 노래를 잠시 부른적이 있으나 곧 작곡가로서 더 유명해진다. 가수로서는 별로 인기를 끌지는 못했다. 1992년 테니스를 치던 도중 급작스럽게 사망함으로써 아내인 프랑스갈 뿐만 아니라 온 프랑스내에 큰 슬픔을 불러 일으키기도 했으며, 그의 죽음으로 인해 프랑스에서는 그와 동년배의 가수들에 대한 재평가 혹은 활동 재기 등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1947. France Gall (프랑스 갈)
  1947년 생으로 음악 가족의 한 일원으로 태어났다. 프랑스 갈의 아버지는 샤를 아즈나부르가 부른 '라 맘마' 등을 작곡한 유명한 작곡가이다. 초기에는 예예 풍의 노래를 많이 불렀으며, 1965년 '춤추는 샹송 인형'으로 유러비전 송 콘테스트에서 그랑프리를 차지했다. 그 후 10여 년간 공백 기간을 가지다가, 미셸 베르제를 만나면서 샹송계의 선두 주자로 나서기 시작했다. 특히 영미 팝의 영향을 많이 받아 팝 음악 풍의 노래를 히트시켰다.
   
1948. Alain Bachung (알랭 바슝)
  1948년 크레올(서인도 제도의 프랑스령) 태생으로 트로피칼한 리듬이 특색이 있는 가수다. 1977년 여름, 록 음악으로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 자신의 어린 시절에 대한 개인적인 추억과 1960년대 풀의 멜로디를 록에 가미, 록 음악에 변화를 시도했다. 자신의 음악 뿐 아니라 알랭 수숑에게 준 곡들이 인기를 얻으면서 가수 겸 작곡가로서의 명성을 떨치게 되었다. 완벽주의자로 모든 곡의 녹음을 반드시 프랑스 내에서만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1988년 '그녀가 상상한다'와 '나의 노래'로 이제 히트 가수 대열에서 물러설 줄 모르고 있다.
   
1948. Laurent Voulzy (로랑 불지)
  1948년 스트라스부르그 생으로 가수로 데뷔한지 15년 동안은 별로 인기를 얻지 못하고 어려운 생활을 보냈다. 코메디 뮤지컬 등을 하며 미국, 독일 등지를 돌아다니던 그는 1980년 유머러스한 가사의 <가비 오! 가비>의 히트로 명실상부하게 프랑스를 대표하는 로커로 성장했다.
   
1949. Yves Duteil (이브 뒤테이)
  1949년 파리 태생으로 대학에서는 음악 학부를 졸업했다. 1974년 스타 페스티벌에 참가하여 1등상을 수상했고, 1977년 골든 디스크를 수상하면서 완전히 히트가수의 반열에 올라섰다. 간단하고 반복적인 멜로디에 음악과 가사를 가장 잘 혼합시키는 가수이며 '안티-스트레스'가 자신의 음악의 모토이다. 현재는 프랑스의 작은 시의 시장까지도 역임하고 있다. 이른바 '샹송계의 음유시인'이라고 불리운다.
   
1949. Maxime LeForestie r(막심 르포레스티에)
  1949년 음악 가족의 한 일원으로 파리에서 태어났다.어려서 피아노, 바이올린, 기타를 배웠으며, 68년 5월 사태를 겪은 이후 사회상을 노래에 많이 담아내었다. 조르주 무스타키, 조르주 브라상스와 두터운 친분 관계를 유지한 그는 그당시<새로운 샹송 세대의 기수>라는 별명을 가질 정도로 새로운 음악을 선보였고,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음악의 리듬을 프랑스에 도입한 주역이다.
   
1950. Williame Scheler (윌리암 쉘레르)
  1950년 생으로 프랑스인 어머니와 미국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다. 원래는 클래식 피아니스트였으나 바르바라의 노래를 반주한 것을 계기로 샹송계에 뛰어들었다. 1975년 첫 앨범 <록앤 달러>는 큰 성공을 거두었으나 가수로서보다는 작사, 작곡가로서의 이름이 더 높았다. 대중 음악외에도 클래식 4중주곡도 여러 편 작곡 했으며 클래식 악기를 대중 음악에 적절히 사용하고 있다.
 
1951. 10 .11. Jean-Jacques Goldman (장자크 골드만)
  쟝 자끄 골드만은 1951년 10월 11일 프랑스 Paris에서 4남매 중 셋째로 태어났다. 골드만을 모르는 샹송 애호가는 아무도 없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현대 샹송계를 떠받들고 있는 그는 자신의 앨범 활동외에도 Celine Dion 등 다른 가수들에게 많은 곡을 써주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그의 음악적 특색이라면 당시 유행을 타고 있는 음악에 대해 많은 연구를 하고 반드시 그에 거스르는 음악을 발표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음악 장르에 대해 전혀 구애를 느끼지 않는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은 음악적 역량은 어린시절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통해 정통 클래식 공부를 했으며, 경제학부를 다니던 (경제학 석사) 대학 시절에 '타이푼'이라는 록 그룹을 결성, 록 음악에도 심취했었고, 그 후에도 여러 샹송 가수들의 음악을 공부했다는 화려한 음악 공부의 배경이 녹아있기 때문에 가능했을 것이다.
   
1952. 5. 11. Renaud (르노)
  1952년5월11일 파리 태생으로 쌍동이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교수이자 소설가였으며 학교생활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던 그는 고등학교를 이곳저곳 전전하다가 16세가 되던해 집을 나와 서점의 점원으로 또는 길거리 가수로 생활했다. 75년 앨범 제작자의 눈에 띄여 첫 앨범을 낸 후 2년 후인 77년에 <콘크리트를 내버려둬>로 크게 히트를 친다. 오랜 기간 공백기를 거쳐 1991년 <자갈상인>을 발표했으며 클로드 베리감독의 영화 <제르미날>에서 열연했다.
   
1953. 11. 23. Francis Cabrel (프란시스 카브렐)
  1953년11월23일 알프스 남서부 지역의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구두공장에서 일을 했는데 15세가 되던 때에 가수가 되기로 결심, 마을의 무도회장 등에서 밥딜런, 레오나드 코헨, 질영의 노래를 불어로 번안하여 불렀다. 1980년 3집 앨범을 발표할 때까지는 슬로우 계열의 음악을 주로 했으나 그 이후로는 어쿠스틱 기타대신 일렉트릭 기타를 사용, 프랑스를 대표하는 로커로 성장하였다. 카브렐은 자신의 음악을 통해 사회 문제를 고발하고 지적하는데 앞장 섰다.
   
1953. 11. 27. Jacqueline Danno (쟈클린 다노)
  1953년 11월 27일 르 아브르에서 태어난 여성가수로, 1952년 1월 파리에 나가 연극을 배우고 54년부터 무대에 섰다. 그 후 병을 얻고 꼬뜨 다쥐르로 옮겼으며, 또다 시 파리에 올라가 고생을 거듭한 뒤 1959년 10월 샹송 가수로 전향하였다. 이듬해 1월 보비노극장에 나가 성공 을 거두었다. 연극의 소양에 뒷받침된 가창은 실력이 충 분하다.
   
1956. 5. 23. Francois Feldman (프랑수와 펠드만)
  1956년 5월 23일 파리에서 태어났다. 18세가 되던 때에 제임스 브라운의 영향을 받고 그룹활동을 시작, 디스코텍에서 키보드 주자로 일을 했다. 초기에 어려운 시절을 보내다가 45회전판인 <단지 너>라는 음반을 내면서 계속적으로 45회전판 히트곡들을 발표하였다. 디스코 계열과 발라드 계열의 음악을 주로 선보이고 있다.
   
1956. 6. 12. Niagara (니아가라)-1963.1.24(부부가수)
  부부 가수로 여자는 뮈리엘 모레노 라포르트(1963년 1월 24일생), 남자는 다니엘 수느벤(1956년 6월 12일생)이다. 뮈리엘은 원래 예술사를 공부했으나 오페라 가수가 되는 것이 꿈이었다. 남편 다니엘을 만나 니아가라를 결성한 후 대중 가수로서 대성공을 거두어, 프랑스 뿐만 아니라 덴마크, 스웨덴, 핀란드, 미국 등지에서 많은 팬을 확보했다.
   
1957. 2. 28. Jeanne Mas (잔마스)
  1957년 2월28일 알리캉트 생으로 아버지는 프랑스인, 어머니는 스페인인이다. 대학에서 스페인어와 이태리어, 무용과 성악을 공부한 그녀는 19세가 되던 해 이태리에 와서 모델수업을 받고 모델로 활약했다. 1984년 첫 싱글 <처음으로>를 발표한 이후 첫딸 빅토리아의 출산으로 인해 2년여의 공백이 있었다. 현재 로마에 거주중이며 딸과 평화로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1957. 1. 14. Etienne Daho (에티엔 다오)
  1957년1월14일생 렌 태생. 록음악에 심취한 나머지 영어공부를 열심히 하여 영어로 학위를 받았다. 직접 노래를 불러 크게 히트한 노래들도 많으나 프랑스와즈 아르디, 실비바르탕 등에게 곡을 주어 작사가겸 작곡가로서의 명성도 얻었다.
   
1959. 5. 14. Patrick Bruel (파트릭 브뤼엘)
  1959년 5월14알 알제리에서 태어났다. CF 촬영을 하면서부터 조금씩 스타덤을 향해 발걸음을 재촉하더니 1980년부터는 거의 격년으로 음악과 영화에서 골고루 놀라운 활약을 보여주고 있다. 원래 영화배우로 연예인 생활을 시작한 그는 계속 연극과 영화에 출연하다가 그의 절친한 친구이자 음반 제작자인 제라르 프레스귀르백과 1984년 <이 여잔 이제 지겨워>를 첫 싱글로 발표한다. 1986년 첫 앨범인 <얼굴을 맞대고>가 큰 인기를 끌면서 그는 이제 가수에도 자신감을 가지게 된다. 이듬해 그는 파리의 올랭피아에서 첫 공연을 가지게 되었다. 영화와 연극에서 다진 무대매너는 라이브공연에서 큰 강점으로 작용했다.
   
1959.12. Les Barclay (레 버클레이)-전속합창단
  1959년 12월에 결성된 바르클레 레코드의 전속 합창단. 남녀 각 12명으로 이루어진 혼성 코러스이며, 오케스트르의 지휘자로서 유명한 레몽 르그랑의 딸 크리스티엔 르그랑(미셸 르그랑의 누나)이 지퓌를 맡고 있다.
   
1960. Stephane Eicher (스테판 에셰)
  1960년 베른 태생. 어려서는 "개구쟁이들을 위한 특수학교"에 다녔다. 형과 함께 그룹으로 음악활동을 시작, 지금은 솔로로 활동 중이다. 걸프전 당시 발표한 5집앨범 <엔젤머그>에 수록된 곡 <평화 속에서의 식사>가 크게 히트했다. 5개국어를 말할수 있을 정도로 언어에도 재능을 보이는 그는 현재 취리히에서 살고 있다.
   
1961. 11. 4. Florent Pagny (플로랑 파니)
  1961년 11월4일 부르고뉴 지방 출생. 15세 되던 해에 파리로 이사왔다. 처음에는 연극 배우로 연기 생활을 시작하였다가 영화감독의 눈에 띄여 1990년 까지 30여편의 영화를 찍었다. 가수로의 데뷔는 1988년 <사크레 수아레> (광장한 저녁파티)의 제작자, 제라르 루벵의 도움으로 <아무거나>를 발표함으로 치렀다. 바네사 파라디와 동거생활을 하다가 헤어진 이후 활동이 뜸한 상태이다.
   
1961. 9. 12. Mylene Farmer (밀렌 파머)
  1961년 9월 12일 캐나다 몬트리올 출생. 10살때 이미 노래 경연 대회에 출전, 1위로 입상하 바 있다. 첫 히트작은 <엄마가 틀려요>이며 특히 뮤직비디오를 통해 외국(헝가리와 아시아에서는 일본에 이르기까지)에 많이 알려졌다. 사회의 어두운 일면을 사실주의적인 기법을 통해 잘 묘사해 내는 가수로 호평을 받고 있다.
   
1962. 12. 6. Liane Foly (리앙 폴리)
  본명은 엘렌 폴렉스로 1962년 12월6일 리옹에서 태어났다. 4살때 이미 클라리넷을 배우기 시작했으며 어머니는 아마츄어 재즈가수, 언니는 피아니스트, 오빠는 드럼주자를 하는 등 음악 가족을 이루었으나 불행히도 아버지가 마약중독자였다. 1973년 첫 무대에 올랐으며, 꾸준한 노력으로 88년 빅토아르 들라 뮤직에서 그 해의 여성 가수상을 수상했다. 동양철학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그녀는 일본에서도 잘 알려져 있으며, 이국적인 음식을 즐긴다.
   
1962. 8. 6. Marc Lavoine (마크 라부안)
  1962년 8월6일 롱쥐모 태생. 8살때 니노 페레의 음악을 듣고 가수가 되기로 결심했다. 83년 두번째 싱글 앨범인 <너와 함께 하는 비긴춤>이 큰 히트를 한 후 , 90년에는 <일요일의 사라>에 수록되어 있는 <친애하는 그대에게>와 <퐁텐느 거리>가 히트함으로써 명실상부한 히트가수의 대열에 들어섰다.
   
1963. 12. 18. Pauline Ester (폴린 에스테르)
  1963년 12월18일 프랑스 남부 툴루즈 근처의 몽지스카르 태생. 본명은 사브리나이다. 어머니는 그녀가 어릴때부터 피아프의 음악을 들려주었으며 원래 안달루시아 출생인 아버지는 플라멩고를 가르쳐 주었다. 플라멩고 댄서로 시작한 연예인 생활은 곧 그녀가 가수로 성장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었다. 우리 나라에서 가장 인기를 끈 노래는바로 <열린 창>이다.
   
1963. 7. 19. Emmanuelle (엠마뉴엘)
  파리태생인 그녀는 부모님의 영향으로 클래식과 미술(석판화)를 공부했고 대학에서는 디자인을 전공하게 되는데 첫 앨범을 제작하게 되면서 디자인 공부를 중단하고 L.A로 건너가 새로운 음악에 심취하게 된다.
작곡과 뮤직 비디오에도 흥미를 가졌던 그녀는 뮤직비디오를 직접 제작하는 열의를 보여준다.
그뿐만 아니라 여배우 Ariel Dombasle의 앨범도 제작하는 실력과 재능을 겸비한 뮤지션이라는걸 증명해주기도 했다. 가슴을 찌르는 듯한 스페니쉬 기타 사운드가 인상적인 <Fantaisis>는 사막 한 가운데서 신기루를 만난것 같은 동양적인 리듬이 에로틱한 분위기를 이끈다.
또한 독특한 비음이 듣는이의 감정을 자극하는 것도 그녀의 매력이다.
   
1966. 12. 5. Patricia Kaas (파트리샤 카스)
  파트리샤 까스는 로렌(Lorraine)지방의 Forbach 광산마을에서 광부인 프랑스 아버지와 독일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이미 8세부터 각종 가요제에 참석하면서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는데, 13세때 한 가요제에서 우승하면서 Saarebruck의 독일클럽인 'Rumpelkammer'과 계약을 맺으면서 실제로 가수로서의 경력을 쌓아가기 시작했다. 이 클럽에서 7년동안이나 노래를 부르면서 다양한 쟝르의 노래를 소화해낸 그녀는 1985년에 한 건축가의 도움으로 파리에서 오디션을 보게되고 그녀의 첫 싱글인 'Jalouse'를 발표한다. 이 노래는 프랑스의 영화배우 제라르 드파르듀가 제작을 맡은 것으로 유명하다. 비록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지만 나름대로의 성공을 거두어 파트리샤는 TV에도 모습을 드러냈다.
 
1971.11.29. Ange (앙주)
  1971년 11월29일 벨기에의 주메트에서 태어난 앙쥬는 4살때부터 음악에 재능을 보였으며 브뤼셀의 National Conservatory에서 노래와 춤을 배웠다. 선천적인 음악성을 타고난 앙쥬는 1988년 그녀 나이 17살때 벨기에 TV에서 주최한 콘테스트에 출연, 영예의 대상을 차지하여 주목을 받았다. 그녀는 또한 R.T.L의 오리지널 작품인 (Ouh La La!)를 노래하여 수상하기도 했다. 이러한 성과로 그녀의 활동은 폭이 넓혀졌으며, 1989년에는 벨기에 매거진과 신문에서 실시한 “Miss Cover Girl”의 골든상을 수상하는 기염을 토해냈다. 그후 벨기에 텔레비젼에서 제작한 미니 드라마에 출연하였으며, 레코드 취입과 함께 싱글 ‘유혹(Tentation)’을 발표, 벨기에와 프랑스에서 싱글차트 정상에 올라 틴에이저 스타로 부상하였다.
   
1972. 12. 22. Vanessa Paradis (바네사 파라디)
  1991년 그녀는 프랑스 향수회사와 3백만 프랑에 광고모델 계약을 체결하였고, 이 광고사진으로 바네싸는 단숨에 세인의 주목을 받게되었다. 이 사진 한 장을 위해 4주동인 아침 일찍부터 밤늦게 까지 촬영에 임했다고 하니 그녀의 프로의식 또한 높이 평가할 만 하다. 음악활동으로 말하자면 1988년 그녀는 'M & J'라는 첫 번째 앨범을 발표하면서 가수로 데뷰하여, 1990년에 두 번째 앨범 'VARIATIONS SUE LE MEME T'AIME', 1992년에 'VANESSA PARADIS'라는 70년대 스타일의 복고풍 앨범을 발표하였다. 이어 93-94년동안 전 유럽에 걸쳐 70회의 공연을 하였다.
   
1973. 5. 20. Elsa (엘자)
  엘자는 다재다능한 작곡가인 아버지와 화가인 어머니의 예술적 재능을 물려받았다. 엘자는 13세(1973.5.20일생) 때인 86년, 영화 "내 인생의 여인" (La Femme De Ma Vie)에 출연중 감독 페지스 와르니에의 권유로 주제가 <떠나지 마세요>(T'en Vas Pas)를 노래하게 되고, 이 곡이 히트 하면서 영화배우이면서 음악활동도 겸하게 되었다. 이후 엘자는 아버지 조르주 링귀니가 작곡한 87년 싱글 <마음에 변화가 생겼어요>(Quelque Chose Dans Mon Coeur)와 88년 싱글 <눈오는 날> (Jour De Neige) 등을 히트시켰다. 그리고 88년에는 이 곡들이 포함된 셀프 타이틀 데뷔 앨범을 발표했다.
 

 
 

■  Mon Mec A moi

■  Kennedy Rose

■  If You Go Away

■  La Vie En Rose

■  이어 듣기
 

 
 

유러비젼 송 컨테스트 역대 수상곡( 1956 ~ 2004 )

 

 

 

Year  Winner Country      Song
1956 Lys Assia Switzerland "Refrain"
1957 Corry Brokken Netherlands "Net Als Toen"
1958 André Claveau France "Dors Mon Amour"
1959 Teddy Scholten Netherlands "Een Beetje"
1960 Jacqueline Boyer France "Tom Pillibi"
1961 Jean-Claude Pascal Luxembourg "Nous Les Amoureux"
1962 Isabelle Aubret France "Un Premier Amour"
1963 Grethe & Jorgen Ingmann Denmark "Dansevise"
1964 Gigliola Cinquetti Italy "Non Ho L'Eta"
1965 France Gall Luxembourg "Poupee De Cire, Poupee De Son"
1966 Udo Jurgens Austria "Merci Cherie"
1967 Sandie Shaw United Kingdom "Puppet on A String"
1968 Massiel Spain "La La La"
1969 Salome* Spain "Vivo Cantando"
Lulu* United Kingdom "Boom Bang-A-Bang"
Lennie Kuhr* Netherlands "De Troubadour"
Frida Boccara* France "Un Jour, Un Enfant"
1970 Dana Ireland "All Kinds Of Everything"
1971 Severine Monaco "Un Banc, Un Arbre, Une Rue"
1972 Vicky Leandros Luxembourg "Apres Toi"
1973 Anne-Marie David Luxembourg "Tu Te Reconnaitras"
1974 ABBA Sweden "Waterloo"
1975 Teach-In Netherlands "Ding Dinge Dong"
1976 Brotherhood of Man United Kingdom "Save Your Kisses For Me"
1977 Marie Myriam France "L'Oiseau Et L'Enfant"
1978 Izhar Cohen & The Alphabeta Israel "A-Ba-Ni-Bi"
1979 Gali Atari & Milk and Honey Israel "Hallelujah"
1980 Johnny Logan Ireland "What's Another Year"
1981 Bucks Fizz United Kingdom "Making Your Mind Up"
1982 Nicole Germany "Ein Bisschen Frieden"
1983 Corinne Hermes Luxembourg "Si La Vie Est Cadeau"
1984 Herrey's Sweden "Diggi-Loo-Diggi-Ley"
1985 Bobbysocks Norway "La Det Swinge"
1986 Sandra Kim Belgium "J'Aime La Vie"
1987 Johnny Logan Ireland "Hold Me Now"
1988 Celine Dion Switzerland "Ne Partez Pas Sans Moi"
1989 Riva Yugoslavia "Rock Me"
1990 Toto Cutugno Italy "Insieme:1992"
1991 Carola Sweden "Fångad Av En Stormvind"
1992 Linda Martin Ireland "Why Me?"
1993 Niamh Kavanagh Ireland "In Your Eyes"
1994 Paul Harrington & Charlie McGettigan Ireland "Rock 'N Roll Kids"
1995 Secret Garden Norway "Nocturne"
1996 Eimear Quinn Ireland "The Voice"
1997 Katrina and the Waves United Kingdom "Love Shine a Light"
1998 Dana International Israel "Diva"
1999 Charlotte Nilsson Sweden "Take Me To Your Heaven"
2000 Olsen Brothers Denmark "Fly on The Wings of Love"
2001 Tanel Padar and Dave Benton Estonia "Everybody"
2002 Marie N Latvia "I Wanna"
2003 Sertab Erener Turkey "Every Way That I Can"
2004 Ruslana Ukraine "Wild Dance"
* In 1969 four countries were declared joint winners as no rules had been established in the event of a ti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