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시대의 만들어진 청자
상감 매병으로 높이 41.5㎝,
아가리 지름 7.5㎝,
밑지름 15.8㎝의 크기로
매병 가운데 드물게 보이는 큰
작품이다.
340호
철채백화삼엽문매병
![]() 고려시대 만들어진 매병으로
높이 27.5㎝, 아가리 지름
5㎝, 밑지름 9.5㎝이다
342호 청자
상감복사문매병
![]() 고려시대 만들어진 매병으로
높이 35.4㎝, 지름 22.1㎝이다
237호
청자 순화4년명호
![]()
240호 백자 투조모란문호
![]()
346호 청자
상감진사모란문매병
![]()
347호
청자상감유어문매병
![]() 조선 전기에 제작된 청자
매병으로
높이 30.0㎝, 아가리
지름 4.6㎝, 밑지름10.4㎝이다.
중국 원, 명나라
도자기의 영향으로 만들어진 청화백자는
초기에는 중국 도자기를
모방한 무늬와 형태를 보이지만,
이후 중국식에서 탈피하여
한국적인 특징을 갖추게 된다
785호 청화백자운룡문병
![]() 조선시대 만들어진
높이 5.3㎝ 아가리 지름
5.3㎝ 밑지름 7.7㎝의 병으로
청화백자운룡문병(보물
제786호)과 한 쌍으로 발견되었다.
786호 청화백자운룡문병
![]() 조선시대 만들어진
높이 21.5㎝, 아가리 지름
4.6㎝, 밑지름 6.6㎝의 병으로
청화백자운룡문병(보물
제785호)과 같이 출토되었다.
787호
분청사기철화어문호
![]() 조선시대 만들어진
높이 27㎝, 아가리 지름
15㎝, 밑지름 9.8㎝의 항아리이다.
788호 청화백자군어문호
![]() 청화백자는 14세기 전반에
중국의 원나라에서 처음
개발되었으며,
백자의 표면에 그려진
푸른색의 그림이 마치 수묵화
같은 정취를 지니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도 15세기
중엽에는 이 자기가 만들어지기 시작했으며,
사실적 화풍을 특징으로
한다
806호
백자반합
![]() 조선시대 만들어진
총 높이 22.5㎝, 뚜껑 높이
9.9㎝, 뚜껑 지름 17.4㎝,
아가리 지름 15.3㎝,
굽지름 9.4㎝인 조선시대 백자반합이다
1022호
청자상감동채연당초용문병
![]() 고려시대 만들어진
높이 38.3㎝, 아가리
지름 6.9㎝, 밑지름 12㎝의 청자병으로,
길게 뻗어 세워진 목과 약간
벌어진 아가리를 가지고 있다.
1024호
청자양각연당초·상감운학문대접
![]() 고려시대 만들어진
청자 대접으로
높이 5.0㎝, 아가리 지름
16.2㎝, 밑지름 4.4㎝의 크기이다
1025호
청자도형연적
![]() 고려시대 복숭아
모양을 본떠서 만든 상형청자의 일종으로
크기는 높이 8.6㎝, 폭
9.6㎝×7.1㎝이다.
1027호
청자구룡형삼족향로
![]() 입 주위 넓은
테인 전이 달리고 향을 사르는 몸체 위에
구룡(龜龍)이 장식된,
뚜껑이 있는 향로로
총 높이 20.4㎝, 향로
높이 10.2㎝, 입지름 10.2㎝이다.
|
출처 : ♡ 사 랑 나 눔 공 간 ♡
글쓴이 : 사랑나눔 원글보기
메모 :
'■ 다락방 ■ > ☜ 고물상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주화의 역사 (0) | 2007.10.31 |
---|---|
[스크랩] 북한 화페 (0) | 2007.10.26 |
[스크랩] 슬로베니아 현행 6종 (0) | 2007.10.08 |
[스크랩] 지폐 ( 폐루 : 솔 ) (0) | 2007.10.08 |
[스크랩] 지폐 ( 아르헨티나 : 아우스트랄 ) (0) | 2007.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