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詩 &書 ■/■ 詩 ...! ! !

[스크랩] [영상기획(03)] 남해 금산/ 이성복

구름에 달 가듯이 2011. 5. 3. 18:57

 


 

 

남해 금산 /詩 : 이성복

 

한 여자 돌 속에 묻혀 있었네
그 여자 사랑에 나도 돌 속에 들어갔네
어느 여름 비 많이 오고
그 여자 울면서 돌 속에서 떠나갔네
떠나가는 그 여자 해와 달이 끌어 주었네
남해 금산 푸른 하늘가에 나 혼자 있네
남해 금산 푸른 바닷물 속에 나 혼자 잠기네

*********************************************************


  • [해설 : 정끝별,시인]
  • 돌 속에 묻힌 한 여자의 사랑을 따라 한 남자가 돌 속에 들어간다면,
    그들은 돌의 연인이고 돌의 사랑에 빠졌음에 틀림없다.
    그 돌 속에는
    불이 있고,
    목마름이 있고,
    소금이 있고,
    무심(無心)이 있고,
    산 같은 숙명이 있었을 터.
    팔다리가 하나로 엉킨 그 돌의 형상을
    ‘사랑의 끔찍한 포옹’이라 부를 수 있을까?

  • 그런데, 그런데 왜, 한 여자는 울면서 돌에서 떠났을까?
    어쩌자고 해와 달은 그 여자를 끌어주었을까?
    남해 금산 푸른 하늘가에 한 남자를 남긴 채.
    돌 속에 홀로 남은 그 남자는 푸른 바닷물 속에 잠기면서 부풀어간다.
    물의 깊이로 헤아릴 길 없는 사랑의 부재를 채우며.
    그러니 그 돌은 불타는 상상을 불러일으킬밖에.
    그러니 그 돌은 매혹일 수밖에.

  • 남해 금산, 돌의 사랑은 영원이다.
    시간은 대과거에서 과거로 다시 현재로 넘나들고,
    공간은 물과 돌의 안팎을 자유롭게 드나든다.
    과거도 아니고 현재도 아닌, 안(시작)도 없고 밖(끝)도 없는 그곳에서
    시인은 도달할 수 없는 사랑의 심연으로 잠기고 있기 때문이다.

  •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돌이 되고 바위가 되는지 남해의 금산(錦山)에 가보면 안다.
    남해 금산의 하늘가 상사암(相思巖)에 가보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사랑의 불길 속에서
    얼굴과 얼굴을 마주한 채 돌이 되는지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돌의 고통 속에서도
    요지부동으로 서로를 마주한 채 뿌리를 박고 있는지
    남해 금산 푸른 바닷물 속을 들여다보면 안다.

  • 모든 사랑은 위험하지만 사랑이 없는 삶은 더욱 치명적이라는 것을,
    어긋난 사랑의 피난처이자
    보루가 문득 돌이 되어 가라앉기도 한다는 것을,
    어쩌면 한 번은 있을 법한 사랑의 깊은 슬픔이
    저토록 아름답기도 하다는 것을 나는 ‘남해 금산’에서 배웠다.
    모든 문을 다 걸어 잠근, 남해 금산 돌의 풍경 속. 80년대 사랑법이었다.

  • 80년대 시단에 파란을 일으킨
    이성복의 첫시집 ‘뒹구는 돌은 언제 잠깨는가’(1980)는,
    기존의 시 문법을 파괴하는 낯선 비유와 의식의 초현실적 해체를 통해
    시대적 상처를 새롭게 조명했다.
    ‘남해 금산’은 그러한 실험적 언어가 보다 정제된 서정의 언어로
    변화하는 기점에 놓인 시다.

  • [정끝별 시인]
    * 명지대 국문과 교수.
    * 1988년 ‘문학사상’ 신인상에 ‘칼레의 바다’ 등 7편이 당선되며 등단했다.
    * ‘자작나무 내 인생’, ‘흰 책’, ‘삼천갑자 복사빛’ 등의 시집이 있다.

 

 
출처 : 구름에 달 가듯이..........
글쓴이 : 구름에달가듯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