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서(書) -유치환
나의 지식이 독한 회의(懷疑)를
구(救)하지 못하고
내 또한 삶의 애증을 다 짐지지 못하여
병든 나무처럼 생명이 부대낄 때
저 머나먼 아라비아의
사막으로 나는 가자
거기는 한 번 뜬 백일(白日)이
불사신같이 작열하고
일체가 모래 속에 사멸한
영겁(永劫)의 허적(虛寂)에
오직 알라의 신(神)만이
밤마다 고민하고 방황하는
열사(熱沙)의 끝
그 열렬한 고독 가운데
옷자락을 나부끼고 호올로 서면
운명처럼 반드시
'나'와 대면(對面)케 될지니
하여 '나'란 나의 생명이란
그 원시의 본연한 자태를
다시 배우지 못하거든
차라리 나는 어느 사구(砂丘)에
회한 없는 백골을 쪼이리라
*****************************
- [詩 감상: 정끝별·시인 ]
- 유치환(1908~1967) 시인의 작품 가운데 애송시 후보를 꼽으라면,
"사랑하는 것은/
사랑을 받느니보다 행복하나니라./
오늘도 나는 너에게 편지를 쓰나니/
그리운 이여, 그러면 안녕!/
설령 이것이 이 세상 마지막 인사가 될지라도/
사랑하였으므로 나는 진정 행복하였네라."는 시 '행복'을 떠올릴 독자도 있겠다.
오늘도 나는 너에게 편지를 쓰나니'라는 구절은 우리에게 친숙하다. 그는 편지의 고수(高手)였다.
일본 유학시절, 주일학교에서 만난 소녀에게 매일같이 편지를 쓰기 시작했다.
후일 그 소녀와의 결혼식 때 들러리를 섰던 화동(花童)이 먼 훗날 '꽃'의 시인으로 유명해진 김춘수였다.
시조 시인 이영도에게 보냈던 편지들은 책으로 묶이기도 했다.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 임은 뭍같이 까딱 않는데/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 - / 날 어쩌란 말이냐"나,
- "바람 센 오늘은 더욱 더 그리워/ 진종일 헛되이 나의 마음은/ 공중의 깃발처럼 울고만 있나니
/ 오오, 너는 어드메 꽃같이 숨었느냐"('그리움')와 같은 절절한 연시들은 바로 - 사랑의 편지에서 비롯되었으리라.
- 그러나 이런 '사랑의 시인'과는 사뭇 다른, '의지의 시인' '허무의 시인'의 면모가
- 유치환의 진면목에 더 가깝다.
형이상학적인 역설을 근간으로 하는 '생명의 서'는 유치환 시 정신의 정수를 보여준다.
생명이 부대끼는 병든 상태에서 무생명의 공간,
바로 '저 머나먼 아라비아의 사막'을 찾아간다는 것 자체가 역설이다.
사멸·영겁·허적 등의 관념적 시어가 사막의 무생명성을 강조한다.
또한 열사의 끝 그 '영겁의 허적' 속에 '호올로' 맞는 고독이 열렬하다는 것,
생명 그 '원시의 본연한 자태'를 '회한 없는 백골'이 될 때까지 배우겠다는 것에서도 - 생명에의 역설은 두드러진다.
모든 생명의 본연은 무(無)다.
생명의 시작은 죽음의 끝과 이어져 있다. 그러기에 사멸의 땅 사막에서 근원적 생명을 배우려는 것이리라. - 대낮의 태양이 이글거리고 영겁의 시간이 층층이 새겨진 사막의 적막,
그 열렬한 고독 한가운데서 영원한 생명에의 충동,이 샘솟는 단독자(單獨者)가 있다.
물 한 줄기 찾을 수 없는 사멸의 사막 끝을 생명에의 의지를 등에 지고 낙타처럼 묵묵히 걸어가고 있다.
그러기에 생명의 '서(書)'에는 생명이 충만한 삶의 서(序)와 서(誓)뿐만 아니라 경전의 - 의미까지도 담고 있다.
그의 시는 형이상학적 전통이 희박한 우리 현대시사에서,
드물게도 인간의 의지 혹은 정신적 높이의 한 정점을 보여주고 있다.
그를 '생명파 시인'이라 부르는 까닭이고 '사막' 하면 그의 시가 떠오르는 까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