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악방 ■/■ POP ... artist

Mariah Carey...

구름에 달 가듯이 2011. 5. 25. 15:23


Without You - Mariah Carey
No I can't forget this evening or your face as you were leaving
난 이밤을 잊을수 없을거예요 떠날때의 당신 표정도 잊지못해요
But I guess that's just the way the story goes
하지만, 결국은 다 이렇게 되나보군요
You always smile but in your eyes your sorrow shows
당신은 언제나 웃고있지만 당신의 두 눈에는 슬픔이 고여있어요
Yes it shows
그래요, 슬픔이 있어요
No I can't forget tomorrow when I think of all my sorrow
난 내일이 되어도 잊을수가 없을거예요 이 슬픔이 모두 생각날테니까요
When I had you there but the I let you go
당신이 내곁에 있어줬지만 나는 당신을 보내야만 했죠
And now it's only fair that I should let you know
이제 말하는게 좋을것같네요 당신이 마땅히 알아야만하는 사실을
What you should know
당신이 알아야만 할것을요
I can't live  If living is without you
난 살아갈수 없어요 제 인생에서 당신이 사라진다면...
I can't live  I can't give anymore
난 살아갈수 없어요 더 이상 드릴것도 없어요
I can't live  If living is without you
난 살아갈수 없어요 제 인생에서 당신이 사라진다면...
I can't give  I can't give anymore
난 드릴것도 없어요 더 이상 드릴것도 없다구요
Well I can't forget this evening or your face as you were leaving
당신이 떠나는 이 밤과 당신의 얼굴을 잊을수가 없어요
But I guess that'f just the way the story goes
하지만, 당신이 떠나는건 당연한일 같군요
You always smile but in your eyes your sorrow shows
당신은 언제나 웃지만 당신의 두 눈에는 슬픔이 고여있어요
Yes it shows
그래요, 알수있어요
I can't live  If living is withou you
난 살아갈수 없어요 제 인생에서 당신이 사라진다면...
I can't live  I can't give any more
난 살아갈수 없어요 더 이상 드릴것도 없어요
I can't live  If living is without you
난 살아갈수 없어요 제 인생에서 당신이 사라진다면...
I can't live  I can't give any more
난 살아갈수 없어요 더 이상 드릴것도 없어요
(No, I can't live) (No, I can't live)
(아냐 난 살아갈수가 없어) (아냐 난 살아갈수가 없어)
No I No no no no I
아냐 난 아니 아니 아니야 난
I can't live (No, I can't live)
난 살아갈수 없어요 (아냐 난 살아갈수가 없어)
If living is without you (No, I can't live)
제 인생에서 당신이 사라진다면 (아냐 난 살아갈수가 없어)
I can't live  I can't give any more
난 살아갈수 없어요 더 이상 드릴것도 없어요
I can't live
난 살아갈수가 없어요 
 
 
[Harry Nilsson]과 [Air Supply] 그리고 [Mariah Carey]등이
불러 커다란 인기를 얻은 이 노래의 원곡은 [Beatles]를 대적할 밴드로
손꼽히던 [Badfinger]가 1970년 발표한 그들의 두번째 앨범 [No Dice]에 실려
있던 곡이다. [Iveys]란 밴드명으로 시작했던 [Badfinger]는 [Beatles]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는데 이들의 데뷔 앨범 [Magic Music Christian]을 위해 [Paul McCartney]가
[Come And Get It]의 곡을 써 주기도 했으며 실제로 이들의 음악에서 [Beatles]와의
유사성을 찾아내는 사람들도 있다. 그리고 이 곡은 [Badfinger]의 중심 멤버였던
[Peter Ham]과 [Thomas Evans]가 쓴 곡이다. [Peter Ham]은 1975년
4월 23일 27살의 나이로 목을 매달아 자살했고 [Thomas Evans]
역시 8년 후인 1983년 11월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사랑하는사람이 떠나고 난 후 그가 없이는 살아갈 수 없어요 라고
애절하게 애원하는 노래인 명곡 [Without You]는 [Badfinger]가 불렀던
노래였지만 노래를 발표한 후 이렇다할 반응을 보이지 않아 좌절과 자금난을 겪자
이 곡을 [Harry Nilsson]에게 주었는데 이 곡이 크게 히트하게 되자 판권을 되찾지 못한
[Badfinger]의 두 멤버 [Peter Ham]과 [Thomas Evans]가 모두 자살해 버리고 마는데 정확한
이유는 알려지지 않고 추측만 무성하다고 한다. 먼저 [Peter Ham]이 자살을 했고 8년 뒤에
[Thomas Evans]도 자살을 했는데 [Peter Ham]의 죽음이 자신의 노래가 그렇게 된
것에대한 비관인지 아니면 당시 팬들에게 외면을 받고 있던 터라 그걸 비관했던
것이었는지는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 일설에 의하면 [Badfinger]의 리더
[Peter Ham]은 순회 공연 중 우리는 제2의 비틀즈 따윈 필요없다는
한 관객의 말에 상처를 입고 자살을 했다는 설도 있다고 한다.

그 후 [Badfinger]의 노래를 취입해 자신의 최대 히트곡으로 만든
[Harry Nilsson] 조차 심한 알콜중독으로 사망하기에 이른다. 그에 뒤이어
1994년 뒤늦게 [Without You]를 리메이크하여 히트를 기록했던 [Mariah Carey]
조차도 유리로 손목을 그어 자살 기도를 했으나 메니저에게 극적으로 발견되어 살아났다고
한다. 이렇게 되면 [Without You]를 부른 가수들마다 호주 출신의 환상적 듀오 [Air Supply]를
제외하고는 모두 자살 및 죽음과 연관이 되니 이 노래가 저주받은 노래라는 말이 나오는 것도 전혀
이상하지 않을법 하다. 하지만 분명한 사실은 [Without You]가 명곡임에는 틀림없는 사실이라
할 수 있다. [Harry Nilsson]이 부른 [Without You]는 1972년 2월 19일자로 차트정상에
랭크하여 4주간 정상의 자리를 지켰다. [Harry Nilsson]의 곡은 가슴을 저리게하는
매력을 지니고 있고 [Air Supply]는 감미로운 감을 더해 주고 있으며
[Mariah Carey]는 R & B 적인 열창이 돋보인다. 

이름 : Mariah Carey(머라이어 캐리) 출생 : 1970년 3월 27일 신체 : 키 175cm, 체중 60kg 경력 : 1987년 17세에 Brenda K.Starr의 백보컬로 활동시작 1995년 ~ 1996년 빌보드 싱글차트 연속 16주 1위 기록수립 수상 : 1990 제33회 미국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팝보컬, 최우수 신인가수상 1994 빌보드뮤직 어워드 올해의 여자가수상 2000 아메리칸뮤직 어워드 평생공로상 2005 아메리칸 뮤직어워드 소울/리듬앤블루스부문 최우수 여자아티스트상 2006 제48회 미국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R & B 앨범, R & B 노래, R & B부문 최우수 여자가수상
1970년 뉴욕 출생의 [Mariah Carey]는 90년대 연속 9장의 앨범을 300만장 이상 팔아치우며 90년대 가장 많은 음반 판매를 기록한 당대 최고의 인기 가수이다. 175 센티미터의 키에 60 킬로그램의 체중, 갈색 곱슬머리에 갈색 눈을 가진 그녀는 백인도 흑인도 아닌 독특한 외모를 지니고 있다. 아일랜드 계열의 백인 어머니와 베네주엘라 출신의 흑인 사이에서 태어나면서 가지게 된 그녀의 독특한 피부색은 백인, 흑인 모두가 그녀를 거부감 없이 받아들일 수 있게 만들어 그녀가 큰 성공을 할 수 있는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 하기도 했다. 오페라 가수였던 어머니가 음악 연습을 할 때 옆에서 노래들을 따라 부르며 어린 시절부터 음악적 소질을 보였던 그녀는 1987년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레스토랑에서 웨이트리스로 일하며 근근히 생활을 이어나간다. 그러던 중 [Mariah Carey]의 데모 테잎이 우연히 소니뮤직의 사장 [Tommy Mottola]에게 전달되어 수소문 끝에 그 데모 테잎의 주인공을 찾아낸 [Tommy Mottola]는 1988년 11월 그녀와 계약을 체결하게 된다. 1990년 그녀는 데뷔 앨범 [Mariah Carey]를 발표한다. 데뷔 앨범에서 [Vision of Love], [Someday], [Love Takes Time], [Don't Wanna Cry]를 빌보드 정상에 올리며 화려하게 신고식을 치른 그녀는 동년 그래미상 5개 부문에 노미네이트 되어 최우수 팝 보컬과 최우수 신인의 2개 부문을 수상한다. 1991년 그 여세를 몰아 2집 앨범 [Emotions]를 발표한 그녀는 [Carole King]과 함께 앨범을 만드는등 음악적으로 한결 성숙한 모습을 보이며 앨범을 차트 정상에 올리긴 했지만 그 인기가 전작에는 미치지 못했다. 하지만 같은 해 M-TV 언플러그드 라이브 공연에서 예전 [Jackson 5(Michael Jackson이 불렀다)]의 히트곡인 [I'll Be There]를 리메이크하여 빌보드 정상에 올리며 전세계적인 성공을 일구어낸다. 1993년 3집 앨범 [Music Box] 역시 대 성공을 거두어 첫 싱글인 [Dreamlover]가 정상에 오르고 뒤이어 [Hero]가 정상을 밟는다. 3집 앨범에서 다시 한 번 대성공을 거둔 그녀는 자신의 성공에 가장 큰 힘이 되어준 소니뮤직의 사장 [Tommy Mottola]와 결혼한다. 팝 음악계의 대 재벌과 부부관계를 맺은 그녀는 자신의 인기와 역량에 막강한 후원자까지 얻게되면서 더 큰 성공을 거두게 된다. 1994년 같은 앨범에 수록되어 있는 [Without You]를 영국차트 정상에 올리고 95년 크리스마스 앨범을 발표하고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와 [Santa Clause Coming To Town]을 연이어 히트시키는 기대치 않은 성공까지 거두게 된다. 1995년 [Daydream]에서 첫 싱글 [Fantasy]를 정상에 올린 그녀는 이 앨범에서 흑인 R & B 그룹 [Boyz Ⅱ Men]과 함께 노래한 [One Sweet Day]를 빌보드 차트 정상에 16주간 올려 놓으면서 빌보드 정상에 가장 오래 머문 곡으로 기록을 세우게 된다. 1997년 그녀의 막강한 후원자였던 [Tommy Mottola]와 이혼한 [Mariah Carey]는 같은해 [Butterfly]를 발표한다. [Honey], [My All]을 연이어 히트시키며 자신 혼자서도 설 수 있음을 보여준 그녀는 월드 투어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하였으며 1998년 [#1's]라는 빌보드 정상 곡으로 이루어진 베스트 앨범을 내놓기에 이른다. 자신의 빌보드 1위곡만으로 앨범 하나를 채운 이 앨범으로 팬들에게 자신의 인기와 위상을 과시했다. 1999년 그녀는 통산 여섯번째 정규 앨범인 [Rainbow]를 발표한다. 그녀는 이 앨범에서 [Puff Daddy]를 포함한 많은 힙합 아티스트들과 함께 작업하며 새로운 음악적 시도들을 선보이게 된다. 이 앨범에서 그녀는 첫 싱글인 [Heartbreaker]를 차트 정상에 올리며 13곡의 빌보드 1위 곡을 보유한 [Michael Jackson]을 누르고 차트 정상 곡 보유 아티스트 3위의 자리에 올라 선다. 그리고 영국 출신의 보이 밴드 [Westlife]와 듀엣곡을 발표하여 인기를 얻기도 했다. [Tommy Mottola]와의 이혼 이후 과감한 노출과 육감적인 뮤직 비디오들을 내놓으며 섹시한 가수로 이미지를 굳혀가고 있는 그녀는 전 세계적으로 1억 5천만장의 음반 판매를 기록하였으며 14곡의 빌보드 1위 곡을 만들어 내면서 [Beatles], [Elvis Presley]에 이어 팝 역사상 세번째로 많은 빌보드 1위 곡을 보유하게 되었다.
 

 

 

'■ 음악방 ■ > ■ POP ... arti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Black Sabbath   (0) 2011.05.25
Electric light Orchestra   (0) 2011.05.25
Gigliola Cinquetti - El Condor Pasa   (0) 2011.05.25
Nazareth ...  (0) 2011.05.24
Bee Gees ...  (0) 2011.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