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詩 &書 ■/■ 詩 ...! ! !

[스크랩] [영상기획(27)] 광야/이육사

구름에 달 가듯이 2011. 5. 3. 19:06

 


 

 

광야 /이육사

 

까마득한 날에
하늘이 처음 열리고
어디 닭 우는 소리 들렸으랴

모든 산맥들이
바다를 연모해 휘달릴 때도
차마 이곳을 범하진 못하였으리라

끊임없는 광음(光陰)을
부지런한 계절이 피어선 지고
큰 강물이 비로소 길을 열었다

지금 눈 내리고
매화 향기 홀로 아득하니
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

다시 천고(千古)의 뒤에
백마 타고 오는 초인이 있어
이 광야에서 목놓아 부르게 하리라

 

<1939년> 
*****************************************

  • [詩 감상:정끝별·시인]
  • 시집 한 권으로 '현대시 100년'에 길이 남은 시인들이 많다. 김소월과 한용운과 김영랑이 그렇다.
    특히 유고시집 한 권으로 길이 남은 시인들도 있으니,
    이상과 윤동주와 기형도 그리고 여기 이육사(1904~1944) 시인이 그렇다.
    그의 이름 앞에는 많은 수식이 따라 다닌다.
    지사(志士), 독립투사, 혁명가, 아나키스트, 테러리스트, 의열단 단원 등.
    1928년 조선은행 대구지점 폭파계획을 세웠으나 사전에 발각되어 수감되었을 때 수인번호가 264(혹은 64),
    이를 '대륙의 역사'라는 뜻의 한자 '육사(陸史)'로 바꾸었다고 한다.
    그가 어떤 항일운동을 했는지 자세히 알 수는 없다.
    단지 17회 정도 감옥을 들락거리며 심한 고문을 받았다는 것, 만주·북경 등지를 부단히 왕래했다는 것,
    북경 감옥에서 40세의 나이로 옥사했다는 것 정도.
  • 닭 울음소리가 들렸다는 것인지 안 들렸다는 것인지,
    초인이 있을 거라는 것인지 초인이 있기 때문이라는 것인지,
    이 광야에 목놓아 부르는 사람이 초인인지 나인지,
    초인을 목놓아 부르는 것인지 노래를 목놓아 부르는 것인지,
    백마 타고 오는 초인은 왜 천고(千古)의 뒤에야 오는 것인지,
    해석이 애매한 부분이 많은데도 이 시가 이토록 많은 사랑을 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 하늘이 처음 열렸던 날부터 다시 천고 후까지,
    휘달리던 산맥들도 범하지 못했으며 큰 강물이 비로소 길을 열어준 이곳!
    이 신성불가침의 시공간 속에서 흰 눈과 흰 말(馬), 매화 향기와 초인의 이미지는 돌올하다.
    특히 까마득한 날부터 천고 뒤로 이어지는 대서사적 시제와 감탄하고 묻고
     명령하는 극적인 어조 속에서 '광야'의 고결한 미감과 강렬한 정서는 한결 고무된다.
    웅대하다는 말, 장엄하다는 말이 이만큼 어울리는 시도 드물 것이다.
  • 감옥에서 남긴 것으로 추정되는 유시 '꽃'에서도
    "동방은 하늘도 다 끝나고/
    비 한 방울 내리잖는 그때에도/
    오히려 꽃은 빨갛게 피지 않는가 (…)
    오늘 내 여기서 너를 불러보노라"라고 노래했다.
    오천 년의 역사가 시작된 이 광야에서,
    지금-여기의 눈보라 치는 겨울 추위를 이겨내고 찬란한 꽃을 피울 미래의 그날을 떠올려본다.
    시인이 기꺼이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렸던 이유일 것이다.
    기름을 바른 단정한 머리에 늘 조용조용 말하고 행동했다는,
    올곧은 시인이 올곧은 삶 속에서 일구어낸 참 올곧은 시다.

 

 
출처 : 구름에 달 가듯이..........
글쓴이 : 구름에달가듯이 원글보기
메모 :